- 학과소개 및 교육목표
- 건강 및 복지에 대한 국가적 관심증가와 고도화된 사회로 인한 신체활동의 저하는 모든 연령층에서 각종 질환들에 대한 발생위험률을 높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전공에서는 각종 질환(비만, 당뇨, 암, 고혈압, 척추측만증 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근거기반-운동방법을 제시하며, 질환 및 운동손상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본 전공에서는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질환 및 장애에 따른 운동 전, 중,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들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담당할 운동치료전문가를 훈련하여 건강복지 사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본 전공에서는 운동선수관련(엘리트체육 및 선수재활)분야, 건강관련(비만, 당뇨, 암, 고혈압, 척추측만증 등과 같은 각종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분야, 장애인관련(장애질환 및 유형)분야로 나누어 이론과 실기 교육을 병행 운영함으로써 현장 중심형 운동치료전문가를 육성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교과목해설
- 기능해부학 Fuctional Anatomy
- 인체 구조를 배우는 기초 해부학을 포함하여 움직임과 관련된 골격, 근육, 신경 등의 기능 및 역할, 연관성 등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 발육발달 치료 Growth Development Therapy
- 인간은 운동과 신체발달을 통하여 성장하며, 성장은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 성숙으로 이어진다. 인간의 전체적인 생애주기에 있어 중요한 신체적 성장과 정신적 성숙의 이해를 돕고, 발육발달치료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학습한다.
- 생활습관병에 대한 운동재활 Exercise Rehabilitation for Lifestyle Diseases
-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운동참여 및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강의의 목표는 당뇨, 고혈압, 비만 및 고지혈증과 같은 생활습관병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운동재활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 선수 트레이닝과 재활치료 Athlete Training and Rehabilitation
- 본 강의의 목적은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운동손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그에 따른 트레이닝 및 재활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 스포츠 의학치료 Sports Medicine Cue
- 스포츠의학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실제를 탐구하여, 자신과 타인의 신체적 문제해결적 치료에 대해 학습한다.
- 스포츠마사지 Sports Massage
- 신체의 질병을 예방하고 아픈 부위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행하는 수기마시지를 학습하고 실습한다.
- 스포츠의학치료세미나 Seminar of Sports Medicine Therapy
- 스포츠의학치료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실제 임상에서 진행하고 있는 현장중심의 치료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이해하며 보다 더 실제적인 치료를 위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를 탐구한다.
- 신체활동심리재활 Psychology Rehabilitation for Physical Activity
- 사람들의 신체활동은 계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그에 반해 성인병 및 비만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환경적 문제와 심리적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강의의 목표는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요인들을 제거하고 심리재활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암환자들을 위한 운동재활 Exercis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ancer
- 생활식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암 발병률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에 대한 운동재활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강의의 목표는 각종 암들에 대한 이해 및 그에 따른 운동재활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습득하는 것이다.
- 운동기술 분석 연구 Exercise Technique Analysis Study
- 신체능력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방법들에 대해 학습하고 치료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운동 및 신체활동에 따른 인체의 생리학적 반응과 변화를 연구하는 교과목이다.
- 운동생리학치료 Exercise Physiology Cure Education
- 운동이라는 자극에 대하여 정상적인 인체 기능을 바탕으로 반응하여 나타나는 기능적인 변화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자극 형태의 트레이닝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적응 현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한다.
- 운동손상치료 sports injury therapy
- 운동으로 인하여 전신이나 신체 일부에 적응 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는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근육의 수축에 의한 반복자극이 지나치거나 힘의 불균형 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의 형태적 변화나 기능적 장애로 인한 손상된 근골격계 기능과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손상평가 Evaluation of Athletic Injury
- 운동 중 부상을 당했을 때, 어떠한 부상을 입었는지에대한 부상(손상) mechanism, 손상에 접근하는 방법,어떠한 손상을 입었는지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토대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동 손상평가 방법을 습득하여 보다 정확한 운동손상 원인과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 운동영양치료 Exercise Nutrition Therapy
- 현대사회는 신체활동량의 감소가 더욱 가속화됨에 따라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력이 저하되며 과잉 섭취한 여분의 에너지로 인해 비만 및 생활습관병이 점차 증가하고 있기에, 체계적이고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운동과 더불어, 본인에게 맞는 식이와 영양 섭취를 통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 운동재활치료 Physical Rehabilitation Cure Education
- 일상생활에서 신체적, 감각적, 지능적, 심리적, 사회적 수준의 저하로 인하여 장애를 입거나 삶의 질이 떨어질 때, 운동 자극을 이용하여 신체 기능을 회복, 유지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지식을 탐구한다.
- 운동치료 연구방법 세미나 I Seminar in Research Methodology of Exercise therapy I
- 운동치료 전반에 걸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최신경향의 연구주제 및 결과들을 탐색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동치료연구에 대한 문제의식, 문제발견 및 연구주제 등을 논의하여 창의적이며 다 학제적인 연구를 위한 실제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 운동치료 연구방법 세미나 II Seminar in Research Methodology of Exercise therapy II
- 운동치료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최신경향의 연구방법 및 결과들을 탐색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운동치료연구에 대한 연구방법 및 결과 등을 논의하여 올바른 연구방법 및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연구를 위한 실제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 운동치료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for Exercise therapy
-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운동치료학전공에 대한 비젼 및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졸업 후의 진로 및 직업선택에 대한 올바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능력 및 진로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 운동치료개론 Introduction of Exercise Therapy
- 운동치료에 필요한 운동 트레이닝법, 컨디셔닝, 에너지시스템, 신체조직 손상메커니즘, 신체조직 치유과정, 운동치료 목표 등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 운동치료마사지 therapeutic exercise massage
- 몸의 아픈 부위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행하는 마사지 유형으로, 운동을 통해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요소를 방해하는 조건과 각종 질환에서 환자를 빨리 회복시키기 위해 근육의 긴장을 유지시키거나 신체의 피로제거를 효율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처치 방법이다.
- 운동치료세미나 seminar in therapeutic exercise
- 운동치료의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운동치료의 사례를 비교하며 운동치료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 검토하고 개인의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소논문을 발표, 토론함으로서 정신건강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능력을 키운다.
- 운동치료연구 Studies in Exercise therapy
- 생애주기별 다양한 질환 및 스포츠 환경에서 나타나는 각종 상해 등의 발생기전과 이론적 기초에 기인하여 다양한 치료 및 훈련 방법과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운동치료에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운동치료측정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cure Education
-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치료에 앞서 진단하기 위해 측정과 평가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한다.
- 운동트레이닝치료 Exercise-Training Therapy
- 외상 부상에서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회복시키는 운동트레이닝의 개념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근골격계의 불편감 등을 신체의 기능부전, 단순한 통증 및 정상적인 신체활동을 위해 제한되는 움직임의 회복까지 넓은 의미의 운동트레이닝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학습 제어 치료 Motor learning, Control Cure
- 운동이 학습되는 기전을 알게 되며, 학습자와 운동학습 및 운동 제어의 심층적인 개념과 응용 원리를 숙지하여 지도자로서 운동 학습의 효과를 고양시킬 수 있는 자질을 갖추게 한다.
- 자세 교정 치료 Posture Correction on Special Discussion
- 자세 비정렬 및 체형의 불균형에 대한 이해와 근육 활성화를 위한 자세 교정 방법을 학습한다.
- 장애인운동재활 Exercis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보다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가 매우 낮으며 비만과 생활식습관병 등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는 그들의 삶의 질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강의의 목표는 장애유형 및 수준에 따른 진단기준, 원인, 특성 및 운동재활방법 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해결능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장애인들의 적극적인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를 할 수 있는 운동재활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 장애인운동치료 Therapeutic Exercise for Disabilitie
-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보다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가 매우 낮으며 비만과 생활식습관병 등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신체활동 및 운동참여는 그들의 삶의 질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 체형교정 운동재활 Exercise Rehabilitation for Body Correction
- 좌식활동의 증가와 과도한 모바일 사용으로 인한 잘못된 자세는 신체균형이 무너짐과 동시에 근골격질환 등을 야기 시킨다. 따라서 본 강의의 목표는 무너진 신체균형(척추, 골발, 어깨 등)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 및 평가하며 더 나아가 운동재활을 통하여 체형교정을 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한다.
- 트레이닝 치료 Training Therapy
- 단순히 외상에 의한 부상에서 회복시키는 트레이닝의 개념이 아닌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느끼는 우리 몸의 기능부전에서 단순한 통증 및 정상적인 운동을 하기 위해 제한되는 움직임의 회복까지 넓은 의미의 트레이닝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필라테스를 이용한 운동재활 Pilates Exercise Rehabilitation
- 자세를 유지하고 버티는 운동인 필라테스는 몸의 균형 및 코어의 힘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한 운동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강의의 목표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들에게 필라테스를 통한 건강, 체형교정 그리고 질환에 대한 운동재활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