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및 교육목표
- 건강 및 복지에 대한 국가적 관심증가와 고도화된 사회로 인한 신체활동의 저하는 모든 연령층에서 각종 질환들에 대한 발생위험률을 높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본 전공에서는 각종 질환(비만, 당뇨, 암, 고혈압, 척추측만증 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근거기반-운동방법을 제시하며, 질환 및 운동손상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본 전공에서는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질환 및 장애에 따른 운동 전, 중,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들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담당할 운동치료전문가를 훈련하여 건강복지 사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본 전공에서는 운동선수관련(엘리트체육 및 선수재활)분야, 건강관련(비만, 당뇨, 암, 고혈압, 척추측만증 등과 같은 각종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분야, 장애인관련(장애질환 및 유형)분야로 나누어 이론과 실기 교육을 병행 운영함으로써 현장 중심형 운동치료전문가를 육성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교과목해설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운동생리학의 주요 내용인 1)운동과 에너지 대사 2)움직임의 기초 근육 3)운동과 호흡 4)운동과 심장 5)운동과 호르몬 의 관계 등 인체의 생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임상적 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 트레이닝치료 Training Therapy
- 단순히 외상에 의한 부상에서 회복시키는 트레이닝의 개념이 아닌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느끼는 우리 몸의 기능 부전에서 단순한 통증 및 정상적인 운동을 하기 위해 제한되는 움직임의 회복까지 넓은 의미의 트레이닝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심리학 Sport Psychology
- 운동심리학은 스포츠 장면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1)성격 2)동기 3)경쟁 불안과 각성 4)주의집중 5)심상 에 대하여 이해하고 운동선수나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심리적 원리를 찾아 운동선수 및 청소년들의 경기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여가레크레이션론 Leisure and Recreation Therapy
- 지역사회, 학교, 가족, 직장 및 질환이나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기억력, 집중력 및 주의력을 증진시키며 자기표현의 기회를 주고,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생리적으로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며 사회적으로 다른 환자들과의 대인관계에서 협동심을 배우고 적절한 경쟁심, 사회성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운동영양학 Exercise Nutrition
- 운동 및 스포츠 분야에서 영양의 역할과 식사법 등을 실험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 운동선수의 성별, 연령, 체중, 스포츠 종류와 강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영양 섭취가 열량 소비와 균형을 이뤄 질병을 이겨낼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나 감정적·정신적 요인들을 이겨내는 데에 효과를 나타내어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부상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는 등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운동치료마사지 Therapeutic Exercise Massage
- 몸의 아픈 부위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행하는 마사지 유형으로, 운동을 통해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요소를 방해하는 조건과 각종 질한에서 환자를 빨리 회복시키기 위해 근육의 긴장을 유지시키거나 신체의 피로제거를 효율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처치 방법이다.
- 운동손상학 Sports Injuries
- 운동으로 인하여 전신이나 신체 일부에 적응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서는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근육의 수축에 의한 반복자극이 지나치거나 힘의 불균형 시 발생할 수 있는 신체의 형태적 변화나 기능적 장애로 인한 손상된 근골격계 기능과 움직임을 회복시키는 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학습제어 Motor Learning and Control
- 움직임의 이론이란 어떻게 신체 운동을 제어하고 학습하는가 하는 문제를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체육 전공자들은 운동기술을 이해하는 데에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 운동의 학습 및 제어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인간의 움직임 이론을 바탕으로 올바른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치료측정평가 Therapeutic Exercise Measurement & Evaluation
- 체위상의 여러 가지 결점을 교정하고 보건 효과를 올리기 위해 여러 가지 입장과 방법에 의해서 체력을 양적으로 측정하여 체력 측정 성적에 대해서 성(性)·연령·체질·운동·경험·생활환경·식생활 등의 상황을 종합 검토해서 앞으로의 운동 처방이나 생활 처방을 지도하는 자료로 삼기 위한 판정하는 것에 대하여 학습한다.
- 운동재활치료 Exercise Rehabilition Therapy
- 상해의 발생 매커니즘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나아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각종 상해의 발생기전과 이론적 기초, 다양한 상해의 원인 및 처치방법 그리고 재활훈련방법, 여성, 노년기의 운동재활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구한다.
- 운동치료세미나 Seminar in Therapeutic Exercise
- 운동치료의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운동치료의 사례를 비교하며 운동치료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 검토하고 개인의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소논문을 발표, 토론함으로써 정신건강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능력을 키운다.
- 체육학 연구법 Research Methods of Exercise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 체육학 연구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