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및 교육목표
-
작업치료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전문 치료분야입니다.
우리나라는 최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국가책임제(2017년)가 시행되면서, 치매안심센터(2019년 256개소 완전 개소)가 설치·운영 되고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관리법에 의해 작업치료사가 필수 인력으로 포함되어 치매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가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의 치료교육교사가 지속적으로 증원되고, 발달장애를 겪는 아동·청소년들의 증가로 인한 아동·청소년 전문 작업치료사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작업치료학과는 현장 중심의 치매 전문 작업치료사 및 아동·청소년 전문 작업치료사 양성에 집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교과목해설
- 감각재활현장실습 Sensory Rehabilitation Field Practice
- 감각처리 중재 현장에 대해 이해하고 그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재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
- 감각처리장애와 중재 Sensory Processing Disorder and Mediation
- 다양한 감각처리 장애에 대해 이해하고 중재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 고급정신사회작업치료 Advanced Psychosocial Occupational Therapy
- 정신 사회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위한 평가와 치료에 관한 최신경향을 연구한다.
- 근거중심연하재활 Evidence-based Swallowing Rehabilitation
- 근거에 입각하여 다양한 치료적 접근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고 연하재활치료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보조공학 특론 Advanced assistive technology
- 재활분야에서의 최근 보조공학에 대해 이해하고 적절한 적용 방법에 대해 강의 및 토론한다.
- 보조공학 assistive technology
- 재활치료 시 사용되는 다양한 보조 기기에 대해 이해하고 발표 및 토의한다.
- 신경과학 Neuroscience
- 신경학적 구조에 대해 강의하고 질환과 연관하여 작업치료 중재 방법 및 증상에 대해 토론하도록 한다.
- 아동검사 및 평가 Child examination and evaluation
- 아동의 신체적 특성과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의 최신 이론과 임상적 치료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운동재활 rehabilitation exercise
- 운동재활을 위한 기초적인 개념과 임상에서 적용되는 치료적 운동의 원리를 이해
- 작업치료 논문지도 occupational therapy paper guidance
- 작업치료 중재 방법을 통한 연구와 논문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토의하고 강의한다.
- 작업치료 연구방법론 Working Therapy Research Methodology
-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고 한 학기 동안 논문 주제에 대해 토론하여 주제를 도출하도록 한다.
- 작업치료 행정 Neuroscience
- 다양한 보건·의료환경에서 사업을 기획·운영 할 수 있도록 학습 및 실습한다.
- 장애아동의 이해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아동의 신체적 특성과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의 최신 이론과 임상적 치료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재활연구 세미나 Rehabilitation seminar
- 재활치료분야에서의 최근 연구동향과 작업치료 뿐아니라 모든 치료 중재 방법에 대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 재활학 rehabilitation
- 재활치료의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하여 발표 및 토의한다.
- 재활행정과 정책 rehabilitation policy and rehabilitation policy
- 조직 관리자의 리더십과 인적자원관리, 사업기획력, 문서 작성 능력 등을 주제로 한다.
- 지역사회 작업치료 Community health and occupational therapy
-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 작업치료 영역의 확대 방법에 대해 강의 및 토론한다.
- 지역사회재활 community rehabilitation
- 지역사회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중재 방법과 지역 단위의 정책에 대해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