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및 교육목표
-
미술치료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내면을 이미지를 통한 미술활동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정신적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자아로의 성장을 돕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술치료사는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가적 소양을 쌓아가야 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이상심리학이론, 상담심리이론 그리고 대상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임상사례연구 등의 심리와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한 정신건강 및 자아성장과 관련된 체계적인 과정을 학습하도록 교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재학생은 가천대 길병원의 폐쇄병동과 가천대 통합발달심리센터에서 임상실습과 Supervision을 받게 됩니다. 졸업 후, 현장적용의 임상기술을 지닌 전문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될 것입니다.
학위 취득 후 민간자격증 종목 취득: 미술심리상담사
교과목해설
- Practicum Training Practicum Training
- 병원 및 해당기관에서 실시하는 미술치료 임상실습에 대해 훈련하고 교육한다. 이를 위해 임상사례 보고 및 발표를 통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형식과 내용 등을 고찰한다.
- Supervision Supervision
- 미술치료 이론을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치료 계획, 평가 도구 및 절차,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효과 검증, 전문가의 자질 등 체계적인 미술치료 연구 과정에 대해 지도 감독을 받는다.
- 가족미술치료 Family Art Therapy
- 가족의 체계에 대해 이해하고 가족 관계 문제를 미술치료를 통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또한 가족에 대한 접근의 일환으로 부모 상담 및 교육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개별연구과제 I, II Individual Research 1, II
-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하여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연구하는지 고찰한다.
- 그림심리진단 및 평가(구, 그림심리검사) Psychological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rawings
- 그림심리검사의 이론적 측면과 진단 기법을 익히고, 평가를 위한 보고서 작성법에 대해 학습한다.
- 놀이치료(미술) Play Therapy
-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놀이치료 치료과정과 치료기법 및 사례를 통해 놀이치료에 대한 기본 지식과 놀이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 대상관계와 미술치료 Object Relations and Art Therapy
- 대상관계의 특징을 증례별로 이해하고 주요 치료기법을 익히고 미술치료이론에 적용하여, 미술치료 과정의 전 대상을 이해하는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모래놀이치료 Sand Play Therapy
- 모래상자와 상징물을 이용하여 내면의 심리적 갈등, 좌절, 분노, 불안 등을 표현하고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내적인 힘을 키워주는 모래놀이 치료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경험해본다.
- 모래놀이치료실제 Sand play therapy Practice
- 모래놀이치료의 이론을 통해서 모래놀이치료의 개념을 이해하고 모래놀이치료의 여러 사례를 경험 하면서 치료자의 역할과 태도 그리고 모래상자를 해석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미술매체연구 Studies for Art Materials
- 미술재료 및 표현방법을 통하여 창작행위의 본질을 연구한다. 미술 발달 과정에 나타난 미학 및 그 형식의 근본적 고찰로 임상미술의 생성 배경을 이해한다.
- 미술심리상담사윤리 Ethics and philosophy of Art therapist
- 미술치료사가 다양한 임상장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어떤 기준으로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 학습하고 적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미술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rt rehabilitation Program
- 다양한 장애 대상과 증상, 구성에 따른 미술재활 및 치료 프로그램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구성하여 전문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미술재활세미나 Art Therapy Seminar
- 미술치료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관련분야 최근 지식과 연구동향 등에 대하여 연구 발표, 토론을 통해 전문적인 역량과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미술치료 사례연구 Art Therapy Case Study
- 미술치료 사례 보고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구성 내용, 진행 과정 등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 미술치료 연구방법 Research Methods of Art Therapy
- 미술치료연구의 윤리적 역할과 미술치료 연구의 목적에 맞는 연구의 설계모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학습한다.
- 미술치료 연구방법 세미나I, II Seminar in Research Methodology of Art therapy I, II
- 미술치료 전반에 걸친 연구와 기법들을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미술치료의 새로운 방향과 기법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논의하여 창의적이며 다 학제적인 연구를 위한 실제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 미술치료 특론 Understanding Art Therapy
- 미술치료의 기본이 되는 중요이론을 전반적이며 개괄적으로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 노인, 집단미술치료의 기초과정을 이해한다.
- 미술치료 표현기법 Art Therapy Expression Techniques
-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적절한 미술표현기법을 연구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미술치료 현장실무 Field of Art Therapy Practice
- 임상 현장에서의 미술치료 수요 확대에 따라 구성된 교과로서, 다양한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 보고서 작성법 등과 같은 현장에서 보다 전문적인 실무를 위한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
- 미술치료개론 Introduction of Art therapy
- 미술치료의 근간이 되는 전반적인 심리이론을 고찰하고, 이론을 토대로 한 미술치료 적용 방법을 연구한다.
- 미술치료연구 동향분석 Art Therapy Research and trends analysis
- 국내외 미술치료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적인 연구방향을 설정하여 논리적으로 구체화시키는 능력을 배양한다.
- 미학 Aesthetics
- 예술과 정신의학의 역사적 문맥을 이해하고 미술사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는 작가와 작품을 참고하여 심리학적 근간을 분석한다.
- 부모교육 및 상담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 아동의 가족과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아동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속한 가족에 대해 이해하고, 가족 특성에 따른 지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아동이 속한 가장 중요한 환경인 아동 가족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가족지원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현장에서 아동 가족지원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색채심리학 Color Psychology
- 색채와 관련된 인간 심리의 연관성에 대해 익히고, 이를 기초로 미술치료에서 색채를 통한 정서표현에 대한 이해와 색채를 통한 심리치료 기법을 탐구한다.
- 심신 장애인 미술치료 구, 특수아동 미술치료)Art Therapy for Physically and mentally handicapped
- 심신장애인의 심리특성과 그에 맞는 미술치료 기법을 탐구하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한다.
-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Art Therapy Pracic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아동과 청소년 미술의 특징을 파악하고, 미술치료 관점의 위기개입과 과정을 이해하고, 긍정적 자아상 확립을 위한 미술의 활용을 모색한다.
- 아동미술교육 Children Art Education
- 임상 현장에서 특수 및 심신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재료와 도구, 교수법등을 통합하여 아동의 수준과능력에 맞는 미술지도를 할 수 있는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동발달 Child Development
- 아동발달에 대한 전체적 개괄을 통해 인간의 전생애적 발달에 대해 연구하고, 신체·정서·인지·행동·도덕성 등 인간의 생성과 전체성 발달에 대한 기초를 확립하며 발달과정에 따른 신체감각, 생물학적 발달을 비롯한 인간기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재활치료자로서의 기초를 마련한다.
- 유아동미술치료 Art Therapy for Infants and Children
- 유아동의 신체/정서/인지발달과 아울러 미술발달에 대해 익히고 유아동기 문제행동에 맞는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적용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 인턴쉽 Internship
- 미술치료의 전반적인 이론과 실제를 바탕으로 관련기관에서 필요한 임상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임상분석 및 연구를 통해 기술을 습득한다.
- 임상관찰 및 실습 Clinical observation and Practice
- 1학기생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필요한 Ap alc Log dook 작성과 실습관찰을 통하여 임상에 필요한 기술과 실제 임상능력을 향상시켜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임상실습 및 슈퍼비전 I Clinical Practicum and Supervision I
- 임상실습 및 수퍼비젼 기초과정으로, 임상실습 교육 과정을 통하여 미술치료에서 습득한 이론지식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고, 실습한 사례를 바탕으로 수퍼비젼을 실시한다.
- 임상실습 및 슈퍼비전 II Clinical Practicum and Supervision II
- 임상실습 및 수퍼비전 심화과정으로서 수퍼비전에 대한 이론적 학습과 임상실습 사례에 대해 동료 및 수퍼바이저로부터 지도와 감독을 받음으로써 치료사로서의 전문적인 치료역량을 강화한다.
- 장애아동 미술치료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장애영역별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특성별 진단과 교육 및 치료적 접근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기법과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구성할 수 있으며 실제 실습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정신병리와 치료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 다양한 정신병리의 유형들을 살펴보고 각 병리의 진단과 원인, 특성 등을 탐구하고 치료적 접근에 대해 학습한다.
- 조형론 Formative Theory
- 사물과 공간의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고 조형과 구조에 대한 원리와 패러다임을 적용하고 공간과 입체 조형에 대한 크기, 재료, 질감 등의 관계를 구체화하고 탐구하여 형태를 이해한다. 사물의 이미지와 확장된 공간의 표현 등을 간단한 도구와 다루기 쉬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대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구체화해 나간다. 이를 토대로 입체의 형태 및 구조에 대한 이해 증진과 창의적 표현 능력, 미적 조형 감각을 키워 나가는데 있다.
- 집단미술치료 Group Art Therapy
- 미술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집단의 범위와 활용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집단의 역동과 미술치료 효과성 등의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적 개념을 이해한다.
- 창조적 미술치료 Creative Art Therapy
- 미술치료가 바탕으로 하는 미술과 심리학 영역에 있어서 창의성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고 미술치료가 다루는 인간 삶의 영역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미술의 작업 과정과 그룹 피드백을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치료사의 기본 자질을 탐색한다.
- 통합예술심리치료 Integrative Arts Psycho Therapy
- 예술적 표현과 비언어적 소통이 더욱 자유로워지고 다양한 예술활동을 어떻게 치료로서 적용할 수 있는지 실제적인 능력을 함양한다.
- 학교 미술치료 School Art Therapy
- 학교미술치료에 관한 기본 개념을 익히고 대상 및 대상과 관련된 미술치료 활용과 방법을 숙지해 학교 현장에서 전문성 있는 미술치료사로서의 자질을 확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