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의학 Psychiatry
- 정신건강, 정신병리 및 인간관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정신의학적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기본적인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심리학개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는 기초학문으로써 심리학의 과학적 접근방법, 인간 이해의 방식, 그리고 심리학의 전반적이고 기본적 지식을 습득한다.
-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 Theories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 상담과 심리치료에 대한 주요 이론적 접근들을 살펴보고 각 이론의 주요개념, 치료의 기법과 진행과정, 기제, 적용 등을 이해한다.
- 심리검사 이론 및 실습 Theories and Practice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 객관적 심리검사, 투사법, 행동관찰법 등 주요한 심리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아동 심리장애 진단에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며 종합심리평가의 실시 및 해석능력을 습득한다.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보건학 연구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통계학 Statistics
- 보건통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의사소통장애학개론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Disorders
-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적 조망에서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전형적인 언어 및 의사소통의 발달, 아동 언어장애, 문해장애, 성인언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조음음운장애, 구개파열, 신경말장애, 삼킴 장애, 청각학 및 청각장애, 보완 대체의사소통 등 언어병리학을 구성하는 전 영역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 보건복지개론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 보건의료와 사회복지는 삶의 질을 높이고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사회에서 갈수록 연계성이 커지는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두 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연구한다.
- 논문작성법 Writing Method of A Master’s Thesis
- 논문 주제 설정에서부터 논리적인 글쓰기 및 전개 방식을 비롯해 참고문헌 작성에 이르기까지 석사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또한 논문 작성 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적인 사항들을 살피고 이를 숙지한다.
- 움직임기능 해부학 Anatomy of Movement Function
- 인간의 기본적인 움직임과 활동시 신체의 복합적인 움직임에 대한 뼈대 및 관절, 근육과 신경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