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465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제목 작성자 RSS 2.0 95건, 현재페이지: 1/12 게시글 리스트 전윤채·김소미·서주형 원생,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 분야 학술지 리뷰 논문 게재 새글 미래 대안기술인 빛을 이용한 논리 회로를 3가지 범주로 분류, 최근 5년간 연구 요약빛을 사용한 새로운 논리 회로 개념을 구축한 모식도 (상), 전자공학과 석사과정 전윤채 원생, 박사과정 김소미 원생, 박사과정 서주형 원생 (좌측부터) 본교 전자공학부 석사과정 전윤채 원생, 박사과정 김소미 원생, 서주형 원생(유호천 교수 연구팀)이 미래 대안기술인 빛을 이용한 논리 회로를 3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최근 5년간 연구를 요약,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 기술 분야 세계 정상급 학술지 Small methods (Impact Factor: 15.367)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명: Contributions of Light to Novel Logic Concepts using Optoelectronic Materials) 논리 게이트는 이진 입력에 대한 논리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회로의 기본 단위 역할을 하는 물리적 구성요소로서, NOT, AND, OR, NAND, NOR, XOR, XNOR gate가 있다. 논리회로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최근 미래기술로서 전기 논리 연산을 넘어서 광전자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논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광전자 논리 연산은 금속 산화물, 탄소 구조, 폴리머, 페로브스카이트와 같은 광전자 재료를 사용하여 전압 혹은 전류 신호 대신 빛을 사용하여 연산을 구현한다.광전자 논리 연산은 전기 논리 연산에 비해 빠른 데이터 처리,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전자 자기 간섭에 대한 내성과 같은 여러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을 이용한 논리 연산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인만큼 용어의 정리 및 범주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유호천 교수 연구팀은 앞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5년간 논리 연산에서 빛이 사용된 연구들을 나열했다. 또한 3가지의 범주 (논리 게이트를 구현하기 위해 빛이 입력 신호로 사용되는 연구, 빛을 사용하여 논리 게이트를 변조시키는 연구, 논리 게이트의 출력 신호로서 빛이 발광하는 연구)를 나누어 차세대 논리 연산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될 빛의 쓰임새에 따라 광전자 논리 연산을 명확하게 구분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빛이 입력신호로 사용되는 연구에는 유기 광전기화학 장치, 양극성 광응답 장치, 광메모리 장치, 다중 게이트 장치와 같이 대다수의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광 유도 도핑 혹은 빛을 통한 다중 값 논리 연산을 제어하여 논리 게이트를 변조시키는 연구들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빛을 출력 신호로 사용하여 분자 수준에서 신호 처리가 가능한 연구에 대해서 소개했다. 유호천 교수는 Small Methods와 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초청을 받아, 광기반의 차세대 논리 소자/회로 기술에 기여할 수 있어 영광이다. 논문 준비하면서 전윤채, 김소미, 서주형 원생이 많이 고생하였는데 큰 성취로 이어져서 기쁘다. 앞으로도 연구성과를 이어 가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 고 전했다.유호천 교수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sdclab/해당논문링크: https://doi.org/10.1002/smtd.202300391 No. 95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6 등록일 2023.06.07 공지기간 ~ 0 기계공학과 박현규·안현진 대학원생, 한국공업화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좌) 박현규 박사과정, (중) 박광진 교수, (우) 안현진 석사과정 본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박현규 안현진 대학원생(지도교수 박광진)이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년 한국공업화학회 춘계 학술대회 에서 각각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박현규학생의 연구 제목은 Systematic Study on Anisotropic Lattice Volume Changes in Ni-Rich Layered Oxides: Role of Doping and Grandient Coating 이다. 이 연구는 배터리 양극 활물질의 차세대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High Ni NCM 양극의 표면 및 구조 불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gradient 코팅 및 이중 도핑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안현진 학생의 연구 제목은 Zero Degradation in LFP: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rough Optimal Carbon Coating Method 로 Carbon(MWCNT)의 균일한 코팅을 통해 LFP의 전기전도도 및 율속 특성 향상을 극대화하였다. 이 연구는 LFP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로 고안정성 및 저가 양극재인 LFP의 상용화를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 연구재단 및 솔라엣지테크놀로지스코리아의 연구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No. 94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183 등록일 2023.05.30 공지기간 ~ 0 의공학교실 서재원 대학원생, 대한의용생체공학회에서 우수논문상 수상 본교 의대 의공학교실 서재원 대학원생(지도교수 김광기)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열린 2023년 제 61회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서재원 학생은 'Artificial-intelligence algorithm for classification of treatment process using conversation in emergency room' 이란 연구논문에서 자연어처리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와 의료진의 대화 내용으로 구성된 텍스트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해당 대화가 응급실 진료 절차 4가지 (예진,초진, 투약 및 검사, 검사결과 설명 및 퇴실) 중 어떤 절차에 해당하는지 자동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전자차트 작성과 같은 업무에서 업무 보조로 활용하여 의료진의 피로도를 완화 시키고자 하였으며, 진료 단계 사전 분류를 통한 진료 단계별 추가 필요 정보를 사전에 제시하고, 실시간 진료 단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로 확장함으로써 응급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No. 93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196 등록일 2023.05.18 공지기간 ~ 0 AI·소프트웨어학부 4학년 정지우 학생, ChatGPT 활용 AI 경진대회 우승 월간 데이콘(DACON) ChatGPT 활용 AI 경진대회에서 참가자 556명 중 1위로 우승 AI 소프트웨어학부 4학년 정지우학생(지도교수 최재용)이 최근 열린 월간 데이콘(DACON) ChatGPT 활용 AI 경진대회에서 참가자 556명 중 1위로 우승했다.데이콘(DACON, Data Science Competition)은 국내 최초, 최고의 AI/데이터 경진대회 플랫폼으로 매달 경진대회를 여는데 이번 월간 데이콘의 주제는 OpenAI에서 훈련된 초거대 언어 모델인 ChatGPT에게 질문하여 AI 프로젝트 코드를 완성하는 것이다.ChatGPT에게 질문하고, ChatGPT가 제공한 응답(코드)으로 AI 프로젝트 코드를 작성해 생성된 모델의 추론 결과를 제출하고, ChatGPT가 제공한 응답(코드) 이외의 코드를 사용(혹은 직접 코딩)할 수 없으며, 참가자는 오로지 ChatGPT가 응답한 코드만을 조합하여 실행시켜야하는 과제로 진행됐다.넓은 분야에서 놀라운 활용도를 보이고 있는 ChatGPT는 어떤 질문을 어떻게 던지느냐에 따라 깜짝 놀랄 만한 대답을 내놓는데, 이러한 ChatGPT를 활용해 고품질의 AI 코드를 개발할 수 있도록, ChatGPT에게 질문하는 프롬프트의 품질 향상에 중점을 둔 경진대회이다.정지우 학생은 수상 인터뷰에서 딥러닝에 관심이 많고 여러 가지 시도하고 배우는 것을 좋아하는데 수상하게 돼 기쁘다 며 졸업 후 인공지능 분야에서 일하고 싶다 고 말했다. No. 92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57 등록일 2023.05.17 공지기간 ~ 0 방사선학 대학원생 및 학부생들, 미추홀 학술대회 수상 보건과학과 방사선학 전공 대학원생 및 방사선학과 학부생들,대한방사선사협회 인천광역시회 주관 미추홀 학술대회 수상 ▲방사선학과 재학생 수상자들 (맨 오른쪽 진유빈, 맨 왼쪽 송세인 학부생, 왼쪽에서 2번째 이영진 지도교수)▲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방사선학전공 수상자들 (사진에서 맨 오른쪽부터 김하진, 임세원 연구원, 이영진 지도교수)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방사선학 전공 대학원생들 및 방사선학과 학부생들이 5월 13일 (토)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대한방사선사협회 인천광역시회 주관 제 22회 미추홀 학술대회에서 대상, 우수상, 장려상을 수상하며 좋은 성과를 거뒀다. 보건과학과 방사선학 전공의 임세원 석사과정 대학원생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lung segmentation 성능 향상을 위한 fast non-local means 알고리즘의 최적화 라는 주제로 발표하여 대상을 수상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의 폐 영역 분할 시 정확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주요 원인인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non-local means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진단의료분야에서의 높은 적용 가능성을 인정받아 대상과 함께 100만원의 상금을 수상하게 되었다. 또한, 김하진 석사과정 대학원생도 간 초음파 영상에서의 영상 화질 개선과 관련된 연구주제로 발표하여 우수상 및 50만원의 상금을 수상하였다. 재학생 세션에서는 방사선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진유빈, 송세인 학부생이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금번 학술대회는 '국민 보건을 선도하고, 회원과 함께 하는 IRTA(대한방사선사협회)'라는 슬로건으로 COVID-19 이후 첫 대면 학술대회 행사로 방사선학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No. 91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411 등록일 2023.05.16 공지기간 ~ 0 메디컬캠퍼스 봉사동아리 RCY, 스승의 날을 기념 사제동행 제빵봉사 진행 메디컬캠퍼스 봉사동아리 RCY, 스승의 날을 기념 사제동행 제빵봉사 진행 가천대 메디컬캠퍼스 봉사동아리 RCY가 12일(금) 인천적십자사 빵나눔터에서 스승의 날을 기념해 사제동행 제빵봉사를 진행했다. 스승의 날 은 RCY단원들이 1958년 세계 적십자의 날을 맞아 병중에 계신 선생님과 퇴직하신 은사님을 방문 위문하고 봉사활동을 하던 것에서 시작이 되었다.올해 스승의 날을 기념해 가천대 메디컬캠퍼스 RCY 지도교수인 간호학과 이선희 교수와 가천대 RCY 단원 28명은 백앙금이 들어간 밤 모양 밤만쥬와 견과류가 듬뿍 들어간 머핀 2가지 종류의 빵을 만들며, 스승의 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사제 간의 정을 쌓았다. 사제 간의 사랑이 담긴 정성어린 빵들은 총 200세트로, 교육현장에서 열심히 헌신하는 가천대 메디컬캠퍼스 교수진과 교직원에게 전달되었다. No. 90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232 등록일 2023.05.15 공지기간 ~ 0 가천대 Cell to In-vivo 이미징 핵심연구지원센터(이길여암당뇨연구원 백현만 교수)와 인천바이오과학고 가천대 Cell to In-vivo 이미징 핵심연구지원센터(이길여암당뇨연구원 백현만 교수)와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와MOU오른쪽 백현만교수 가천대학교 Cell to In-vivo 이미징 핵심연구지원센터(이길여암당뇨연구원 백현만 교수)와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는 국가연구시설장비 활용을 높이고, 지역사회 학생들의 진로 설계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2023년 5월 3일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대학연구기관과 특성화고등학교간의 상호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 인재 육성을 위해 함께 협력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의 현장실습 및 취업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두 기관은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바이오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지역 바이오업체 교육지원, 주요 사안 홍보 등 대외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 등에 대하여 상호 협조하기로 하였다. No. 89 작성자 비서실(M) 조회수 150 등록일 2023.05.12 공지기간 ~ 0 운동재활학과 학생들, ‘운동재활학과 융합으로 통하는 성공의 길’ 2023융합연구총괄센터 아이디어 공모전 대 운동재활학과 학생들, 운동재활학과 융합으로 통하는 성공의 길 2023융합연구총괄센터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2023 융합연구총괄센터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 기념사진- 사진 좌측부터 노영희 융합연구총괄센터장, 심재아( 17), 허윤진( 20), 이준회( 20) 학생 - 본교 운동재활학과에 재학 중인 심재아( 17), 허윤진( 20), 이준회( 20) 학 석사 연계과정생으로 구성된 융통성(융합으로 통하는 성공의 길) 팀이 한국연구재단 융합연구총괄센터에서 4월 27일 주최한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영광의 대상을 수상하였다.본 공모전은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 및 정책에 관련된 모든 것 이라는 주제로 1차 서류심사와 최종 발표 심사 평가를 통해 수상자를 가렸다. 운동재활학과 학 석사 연계과정생들로 구성된 융통성은 융합연구 인재양성을 위한 플랫폼 개발을 목적으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융합적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창의 융합인재의 필요성에 집중했다. 이러한 인재양성을 위해 만새만세(만나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세상) 라는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학생과 학교, 산업체, 전문연구기관이 융합연구 교류 활성화와 융합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특히 융합연구 및 공모전 공고와 인재매칭, 전문가멘토링 등 다양한 요소를 세분화시켜 융합연구 교류를 활성화 시키고 융합인재 양성에 브릿지 역할이 가능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본 융통성 팀은 전공 분야 전문성을 토대로 지역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운동재활 융합연구자로서 꿈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삼기로 했다. No. 88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104 등록일 2023.05.12 공지기간 ~ 0 처음 112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