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465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제목 작성자 RSS 2.0 78건, 현재페이지: 1/10 게시글 리스트 교육대학원 중등교사임용시험 합격 4명 배출, 학부도 2명 합격 함가희 영양교사, 박윤정 영양교사, 조연주 음악교사, 배민영 체육교사(좌측부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생 4명이 중등교사임용시험에 합격해 교단에 선다. 합격자는 총 4명으로 영양교육전공(주임교수 계승희)의 함가희(서울 도곡중학교), 박윤정(인천 서도고등학교), 체육교육전공(주임교수 김하영)의 배민영(천안, 오성중학교), 음악교육전공(주임교수 이수연)의 조연주(서울, 천일중학교) 졸업생이 합격했다. 교육대학원은 교사임용시험 합격을 지원하기위해 학교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초빙하여 임용시험 준비를 위한 특강을 실시하고 임용시험과 연계해 교과목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고연주 영양교사, 강혜인 미술교사(좌측부터) 이와함께 학부 회화과 강혜인(미술교사), 식품영양학과 고연주졸업생(영양교사)도 중등교사임용시험에 합격했다. No. 78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47 등록일 2023.02.28 공지기간 ~ 0 의대 의공학교실 서재원원생 , IFMIA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상 수상 본교 의대 의공학교실 서재원 대학원생(지도교수 김광기)이 지난달 10일부터 13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maging in Asia 2023(IFMIA)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연구제목은 A deep Learning-based breast mass detection algorithm using dual-view mammography 로 딥 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네트워크를 제안함으로써 유방 X선 영상에서 유방 종괴 검출 성능을 높이고자 했다. 유방 X선 영상은 유방암 선별 검사에 사용되는 주요한 모달리티(modality)로, 하나의 유방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해 표준 영상인 상하 촬영상과 내외 사위 촬영상을 동시에 활용, 유방암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이 연구는 임상 진단의 접근법에 기반하여 두 표준 영상을 동시에 활용하는 새로운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단일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여성 암 발생률 및 사망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유방암 진단을 보조함으로써 조기 진단 및 진단 정확도 향상을 통해 유방암 사망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경기도의 연구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No. 77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494 등록일 2023.02.13 공지기간 ~ 0 한의과대학 대학원생 4명 전국한의학학술대회에서 미래인재상 수상 김성진(박사과정), 최예정(석사과정), 이명진(박사과정), 강기성(교수), 사진좌측부터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대학원생 4명(이명진, 김성진, 최예정, 김미향)이 대한한의학회가 지난 14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한 학술대상 시상식에서 미래인재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지난 해 9월부터 11월까지 응모를 통해 접수된 연구부문 29건 및 비연구부문(봉사) 3건에 대해 심사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됐다.박사과정 이명진 원생은 위손상에 대한 육계의 분자적 기전 및 활성 화합물의 동정 이라는 논문을 통해 면역세포와 위 손상을 유발한 동물에서 녹나무과의 줄기 껍질로 소위, 계피라고 알려진 육계가 항염증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박사과정 김성진 원생은 열처리인삼다당체의 대식세포 활성화 변화에 대한 연구 라는 논문을 통해 인삼의 열처리 가공법으로부터 정제된 다당류 분획물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대식세포를 이용한 면역력 증진 효과를 확인했다.김미향(박사과정) 석사과정 최예정 원생은 은행나무에서 분리한 단일 물질 인돌알칼로이드 글리코사이드가 종양괴사인자 유도 노화로부터 피부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을 증명한 은행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인돌알칼로이드 글리코사이드의 종양괴사인자 유도 피부세포보호효과 라는 논문을 제출했다. 박사과정 김미향 원생은 버려지는 땅콩 부산물(겉껍질)이 가진 여러가지 생리활성에 주목하여, 식량과학원에서는 땅콩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지도교수인 강기성 교수는 예방의학 교실 대학원생 4명 모두가 이번 상을 수상하며 가천대 한의대 예방의학 연구 우수성을 증명했다 며 한국연구재단(다부처 국가생명 연구자원 선진화 사업)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차세대의료제품평가기반구축사업)의 기초연구 등을 수행하며 쌓아온 학생들의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한의학 인재 양성에 계속 힘쓰겠다 고 말했다. No. 76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556 등록일 2023.02.02 공지기간 ~ 0 의대 김준엽학생, '2022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김준엽 학생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김준엽 학생(본과 3학년)이 2022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김 군은 지난 12월 29일 오후 2시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 대연회장에서 열린 교육부 2022 대한민국 인재상 시상식에서 가천대 의과대학 최초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 인재상 은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우수한 청년 인재들을 발굴하여 시상하고 미래 국가의 주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작된 인재양성 프로그램이다.올해도 교사(교수), 학교장(학장, 기관장) 등의 추천과 지역별 심사, 중앙심사 과정을 거쳐 전국의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인재 100명(고등학생 50명, 대학생‧일반인 50명)을 최종 선정해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과 상금 200만원을 시상했다.김준엽 학생은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의사를 꿈꾸며 의학과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학업 및 학술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김 군은 대한민국 인재상은 지금까지 해왔던 다양한 활동과 그동안의 노력을 되돌아보는 계기이자 꿈을 이뤄가는 길목의 이정표라고 생각한다 며 소감을 전했다. 또한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통해 그늘진 곳 없는 사회를 만들어가고 싶다 라며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의료인으로 성장하여 환자들의 삶에 개인적으로 기여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대한민국 뇌신경 분야의 선구자로서 더 많은 환자가 전문적인 진료를 받도록 시스템을 만들어갈 것 이라고 포부를 밝혔다.그는 가천대 의과대학 재학 중 학년 수석을 하는 등 우수한 학업성취를 이루었을 뿐 아니라 2022년 SCI급 국제학술지에 MRI를 활용한 파킨슨병의 조기진단 논문을 제1저자로 발표하는 등 연구에 열중해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당해 교내로부터 자랑스러운 가천인상 을 수상하기도 하였다.학업뿐 아니라 사회공헌 활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김 군은 뛰어난 의술과 따뜻한 마음으로 사람과 사회의 병든 부분을 치료하는 명의로 성장하기 위해 2018년부터 보건복지부 비영리민간단체 보건의료통합봉사회 에서 의료 사각지대에 재가방문 의료봉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단체의 대표이사로서 본인의 거주지에 인천지회를 설립하기도 하는 등 전국적으로 활발한 봉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 봉사회는 사회공헌을 인정받아 서울특별시장상, 국회의원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한 바 있다. No. 75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1238 등록일 2023.01.13 공지기간 ~ 0 식품생명공학과 이원민 학생, ‘대통령과학장학생’ 선정 식품생명공학과 이원민 학생 본교 식품생명공학과 3학년 이원민 학생이 대통령과학장학생 으로 선정돼 지난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미래과학자와의 대화'에서 장학증서와 메달을 받았다. 이 날 행사는 대통령실에서 2022 대통령과학장학생 140명과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 44명 등 총 230명의 미래 과학자를 초청해 격려한 행사이다. 대통령과학장학금은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학생을 발굴해 미래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장학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2003년부터 매년 학부 1학년과 3학년에 해당하는 국내 및 국외 이공계 대학생 150여명을 선발한다. 장학생은 학업성적, 인 적성, 사회적 책임감, 과학적 토론능력 등을 평가해 선발하며, 선발된 장학생에게는 매 학기 등록금 전액과 250만 원의 학업장려비가 지급된다.이원민 학생은 현재 식품생명공학과 이병호 교수가 이끄는 탄수화물생명공학 연구실(Carbohydrate Biotechnology Lab.)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세계에서 각광받는 기능성 식품 분야인 지소화성 탄수화물을 연구하고 있다. 이원민 학생은 가천대 한의학과에서 재배종 국가 생약자원 수집조사 와 동의보감 독초판별 시스템 개발 에 참여하면서 여러 가지 식품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며 앞으로 식품 소재에서 표적 물질을 순수 분리, 생산 및 변형해 활용하는 방법을 공부해 미래 식품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 고 밝혔다. No. 74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88 등록일 2023.01.13 공지기간 ~ 0 석사과정 김성재, 김소미 원생, 국제 최대 재료 학회 2022 MRS Fall Meeting에서 최우수 포스 김소미 원생 (좌)과 김성재 원생 (우)이 미국 MRS Fall Meeting에서 최우수포스터상을 받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본교 일반대학원 나노과학기술융합학과 전자공학전공 석사과정 김성재, 김소미 (지도교수: 유호천 교수) 원생이 지난 11월 27일부터 12월 2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2 MRS Fall Meeting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MRS Fall Meeting은 1973년 설립된 Materials Research Society에서 주관하는 세계 최대규모 학회이며, 회원 수만 12,000명 이상으로 90개 이상 국가에서 물리 화학 생물 등을 포함한 재료 분야 최고 연구자들이 모여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학회이다. 2022 MRS Fall Meeting은 50개 이상의 심포지엄과 전세계 20,000명 이상의 연구원이 참석했다. 김성재 원생은 100% Yield, 4-Inch Wafer-Scale Non-Volatile Optically-Guided Organic-Inorganic Heterostructure Memory Array with Simultaneous Detection and Storage of Text Image 라는 제목으로 빛에 의해 프로그래밍 상태가 조절되는 광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성재 원생은 매우 큰 학회에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뿐만 아니라 수상까지 하게되어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인정받는 것 같아 매우 기쁘다 며, 계속해서 남들이 발견하지 못한 것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열심히 연구에 임하겠다. 고 각오를 전했다. 김소미 원생은 Pre-State-Dependent Ternary/Binary Logic Operation Obtained by Ink-jet Printed SWCNT/InO Heterojunction Transistors 라는 제목으로 SWCNT/InO 헤테로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이전 상태에 따른 3진, 2진 논리 연산 구현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소미 학생은 세계적인 학회에서 발표를 하고, 최우수 포스터상을 받을 기회를 얻어 영광스럽다. 며 앞으로도 창의적인 논리 회로소자를 연구하고 도전하겠다. 고 포부를 밝혔다. 두 원생의 지도교수인 전자공학부 유호천 교수는 세계적인 학회에서 우리 연구실 2명의 학생이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한 것은 우리 학교의 연구 결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고 말했다. 김성재, 김소미 원생은 2023년 2월에 석사학위를 마친 후 3월부터 박사과정으로 이어서 진학하여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호천 교수팀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sdclab No. 73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649 등록일 2023.01.04 공지기간 ~ 0 컴퓨터공학과 공준열, 우진섭 학생, 넥슨 슈퍼해커톤 대상 컴퓨터공학과 공준열, 우진섭 학생, 넥슨 슈퍼해커톤 대상 본교 컴퓨터공학과 4학년 공준열, 우진섭 학생으로 구성된 든든이들 팀이 넥슨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최한 슈퍼해커톤 2022에서 전체 1등(대상)을 차지했다. 시상식은 지난 14일 온라인(메타버스)으로 열렸으며 500만원과 넥슨 MSW(MapleStory World)개발실 입사 지원시 서류전형 면제라는 혜택이 주어졌다. 든든이들팀은 공준열 학생, 우진섭 학생을 비롯해 타교생 총 4명으로 구성됐다. 든든이들팀은 기획, 그래픽 디자인, 컴퓨터프로그래밍 등을 나누어 게임을 제작했으며 공준열학생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우진섭 학생 그래픽 디자인을 맡았다. 이 대회는 넥슨이 개발한 MSW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 동안에 참가팀이 개발한 다양한 컨텐츠와 게임을 평가해 수상자를 정했으며 전국 150개팀 700여명의 대학생들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든든이들팀은 엘리멘탈이 되어버렸습니다만, 문제라도? 이란 작품을 제출했다. 이 작품은 18살 생일파티에 초대받은 5명의 기사들이 유체이탈 쥬스 를 마시면서 영문도 모른 채 엘리멘트가 된다는 설정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게임 유저들은 마을에 뿔뿔이 흩어진 영혼을 함께 되찾는다는 내용이다. 독특한 컨셉과 디자인 우수성, 프로그램 개발 완성도 등 게임의 모든 측면에서 넥슨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공준열 학생은 전국 학생들이 참가해 실력을 겨루는 큰 대회에서 우승해 기쁘다 며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넥슨 MSW 개발실에 입사해 게임을 더 개발하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됐다 고 밝혔다. 이어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는 일 뿐만 아니라 MSW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 유저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플랫폼 개발에도 힘쓰고 싶다 고 포부를 밝혔다. No. 72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688 등록일 2022.12.30 공지기간 ~ 0 기계공학과 대학원 및 학부생 3명, 한국유체기계학회 우수논문발표상 기계공학전공 석사과정 대학원 및 학부생들이 2022 한국유체기계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받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좌측부터 박성철, 정재호 교수, 류원석, 서명진 학생 본교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박성철, 학부 3학년 서명진, 류원석 학생(지도교수 정재호)이 지난 11월 31일부터 12월 2일까지 제주도 신화월드에서 열린 2022유체기계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각각 받았다. 박성철 학생은 '20MW급 초대용량 풍력발전시스템 통합하중해석 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20MW급 초대용량 풍력발전시스템 블레이드 공력-구조 통합 개념 설계 및 시스템 개념 설계를 제시했다. GH Bladed 코드를 활용해 IEC 국제 표준에서 요구하는 극한 하중 해석을 위한 설계 하중케이스를 고려했으며 시스템 요소별 극한 하중을 평가하고 최대/최소 하중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서명진 학생은 초대형 선박폐열 열전발전시스템 내부 열전달 현상 규명 이라는 논문을 제출했으며 선박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열전발전시스템 내부에서의 각 위치별 상세 열전달 현상을 규명하고 실제 실험값과 비교했다. 이 논문은 LG이노텍과 삼성중공업과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류원석 학생은 'LNG 운반선 PCHE열교환기 내상변화에 대한 수치해석 를 발표 했으며 논문을 통해 PCHE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 중 채널 내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기화 및 응축의 해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PCHE 열교환기 해석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채널 내 결빙 현상을 모의했다 No. 71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405 등록일 2022.12.26 공지기간 ~ 0 처음 110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