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해설 / Courses and Syllabuses
과목명 | 설명 | |
---|---|---|
06985 | 커뮤니케이션이론 1 (Communication Theory 1) |
커뮤니케이션이론에 대한 기존 논의 가운데 특히 인간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대한 검토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여러 특성과 유형, 그간의 연구 흐름을 파악한다. 특히 인접 학문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그 효용성에 대해 탐구한다. |
06986 | 커뮤니케이션이론 2 (Communication Theory 2) |
커뮤니케이션이론에 대한 기존 논의 가운데 특히 매스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술적 매개로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유형 및 연구 흐름을 파악한다. 특히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례분석 등을 통해 심도있는 학습을 한다. |
11980 | 미디어연구방법론 1 (Media Research Methodology 1) |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과학적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해 다양한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배양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학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론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11981 | 미디어연구방법론 2 (Media Research Methodology 2) |
미디어연구방법론 1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제반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실제 사례분석하면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구논문을 완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07024 | 미디어 산업과 정책 연구 (Media Industry & Policy) |
미디어 산업의 구조와 정책 현안을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미디어 현상을 산업정책론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며, 관련 주제의 연구능력을 배양하는데 학습목표를 둔다. 신문, 방송, 뉴미디어 등의 산업적 구조와 구체적 정책 현안들을 다루며, 쟁점 이슈들을 분석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이론들을 살펴본다. |
07098 | 미디어 문화연구 (Media Cultural Studies) |
문화연구의 시작인 기호학(Semiotics)부터 시작하여 스튜어트 홀(Stuart Hall)과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연구 전통을 학습한다.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
07099 | 디지털미디어론 (Studies on Digital Media) |
디지털 미디어의 기본 개념과 특징, 실상과 이에 따른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대해 학습한다. 학생들은 인터넷 신문, 포털, SNS 관련 기업 등에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배우게 된다. 디지털미디어의 쟁점 이슈들을 분석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이론틀을 살펴본다. 나아가 관련 주제의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11982 | 광고PR캠페인 (Advertising & PR Campaign) |
실제 광고 홍보 캠페인 사례를 통해 광고 마케팅과 공중 관리에 관한 과학적 방법론을 학습한다. 광고와 홍보에 대한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배양하고 궁극적으로 학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론적 지식도 습득한다. |
11983 | 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 |
미디어의 기술적 발달과 이에 따른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시민들이 미디어를 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디어이용자 권익 침해 등 다양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 대한 이론과 실제 사례 등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07103 | 디지털사진세미나 (Seminar in Digital Photography) |
신문과 방송은 물론 출판/각종 SNS에서 디지털사진의 응용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취업현장에서 홈페이지 사진을 게재하기 위하여 촬영하고, 편집하고, 포토샵으로 손질하는 것이 필수적인 작업이 되고 있다. 디지털사진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적인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07048 | 국제커뮤니케이션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미디어가 국제사회 질서와 국가 운명에 미치는 영향, 세계의 미디어 역학관계, 미디어의 문화적 속성, 세계의 미디어 시장과 콘텐츠 유통실태, 한류 등에 대해 배운다. 국제 이슈에 대한 지식 및 사례 연구 등을 통해서 언론과 국제관계에 대해서도 학습하게 된다. |
06988 | 저널리즘 이해 (Studies on Journalism) |
언론학의 주요 분야인 저널리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역사적, 철학적, 현대적 관점에서 알아보고, 커뮤니케이션을 비롯한 다른 언론학 분야에서의 응용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통해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에 대해서 탐구한다. |
11979 | 광고기획제작세미나 (Advertising Planning and Production Seminar) |
이 수업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광고 기획 및 제작 관련 원리와 실무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과목은 시장 분석 및 타겟 오디언스 구분, 메시지 개발 및 미디어 선택과 같은 광고의 전략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해당 과정에서 학생들은 시장 조사 활동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소비자의 선호도, 행동 및 시장 트렌드를 분석해 이를 소논문으로 작성한다. |
11977 | 영상기획제작세미나 (Video Planning & Production Seminar) |
영상기획제작세미나는 영상기획과 제작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 과목은 비디오와 디스플레이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고, 영상 제작과정 등을 탐색한 다음, 영상 기획 및 제작 결과물을 발표하는 대학원 세미나 수업이다. |
11978 | 헬스커뮤니케이션 (Health Communication) |
건강과 보건의 문제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이 공중들의 건강과 보건에 대한 인지, 태도 및 행동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학습한다. |
11976 | 영상의 이해 (Understanding of Video) |
‘영상의이해’는 영상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매체적 발달 과정을 이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기술 기반의 동영상 시대에 대한 전망을 학술적이고 실체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세미나 수업이다. |
11975 | 통합브랜드 커뮤니케이션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
이 과목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종합적으로 다루며, 학생들이 통합적인 시각으로 브랜드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이해하고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 사례 연구와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