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경영전공(Health Care Management Administration)
전공 소개
- 의료기관의 경영에 필요한 개념의 이해와 경영분석 및 전략수립을 위한 역량을 배양하고, 국가와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 공급 및 이용에 관한 보건의료정책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관리에 대한 방안을 연구·교육한다.
- 글로벌 헬스케어 시대를 맞이하여 융ㆍ복합 의료산업 발전을 선도하고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을 함양함은 물론 의료기관이 당면한 의료의 질향상 및 각종 의료혁신 사례연구를 통해 의료기관의 효과적·효율적인 경영관리를 실현하는 유능한 인력을 양성·배출하는 것이 본 전공의 목표이다.
교육 목표
-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보건의료제도, 조직, 사업의 관리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탐구적 소양을 함양하고 보건의료조직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적 능력을 배양하여 전문 의료경영인을 양성한다.
- 최신 경영기법 및 혁신사례를 통한 효과적·효율적인 의료기관 경영능력을 함양하고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등을 학습하여 의료발전을 선도하는 의료경영인을 양성한다.
- 글로벌 헬스케어시대에 맞아 의료시장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고 아울러 의료산업 발전에 대한 특성화된 교육을 제공하여 전문적이고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의료경영인을 양성한다.
졸업 후 진로 및 혜택
- 진로
- 박사과정 진학(본교 보건정책·관리학과 박사과정 진학 시 다양한 혜택)
- 대학병원/중소형병원 등 의료기관 관리자
- 보건의료 관련학과 교수요원 및 보건의료 관련연구소 연구원
- 의료기관 전문컨설턴트
- 혜택
-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의 추천을 받는 학생은 등록금 30% 감면 혜택.
- 이외 다양한 형태의 등록금 감면혜택의 기회가 주어짐.
교과편성표
구분 | 과목1 | 과목2 | 년도학기 |
---|---|---|---|
1차 학기 | 글로벌사회와 건강세미나 | 국제보건의료 개발협력의 이해 | 2019-2 |
2차 학기 | 시니어비즈니스 세미나 | 의료산업론 | 2020-1 |
3차 학기 | 의료경영학 개론 | 4차산업혁명과 의료기술 세미나 | 2020-2 |
4차 학기 | 의료경영 사례연구 | 보건복지정책론 | 2021-1 |
5차 학기 | 보건의료통계론 | 의료경제론 | 2021-2 |
교과목 해설
- 글로벌사회와 건강세미나(Seminar on global society and health)
글로벌화한 사회의 보건복지 분야의 주요 현안들을 중심으로 이해와 건강문제의 복합적인 요인들에 대해 학습한다. 건강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합적 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슈 중심의 건강문제에 대해 학습한다. - 국제보건의료 개발협력의 이해(Understanding in global healthcare ODA)
개발도상국에 대한 보건의료 개발협력 사업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 시니어비즈니스 세미나(Seminar on senior business)
50세 이상 인구가 급증하면서, 성장산업으로 떠오르는 고령친화산업(시니어 비즈니스)이 우리나라와 해외 선진국들에서 어떻게 발전해나가고 있는지를 학습한다.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고령자 대상의 의료산업, 요양산업, 연금산업, 교육산업, 여가산업, 주거산업 등 개별 시니어 산업에 대해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 의료산업론(Healthcare industry)
의료산업의 현황과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기관, 의료정보기술 등 의료산업의 구성과 발전에 대해 학습한다. - 의료경영학 개론(Management of Healthcare Organizations)
의료기관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리과정의 각 단계에 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도록 한다. - 4차산업혁명과의료기술세미나(Seminar on Industry 4.0 and Healthcare)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블록체인, 드론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되는 의료기술에 대해서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 - 의료경영 사례연구(Cases of Healthcare Management)
의료기관의 우수한 경영사례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경영에 대해 학습함. - 보건복지정책론(Health and Welfare Policy)
보건복지정책의 주요 현안들을 중심으로 내용과 성과에 대한 이해를 얻는다. 보건의료 자원, 의료보장, 의료장비, 의약품, 의료기술, 생애주기별 복지정책, 장애인복지, 복지시설, 지역사회기반 복지, 장기요양보험,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복지 등 복지 정책에 대해 이슈 중심으로 학습한다. - 보건의료통계론(Healthcare Statistics)
보건의료분야에서 사용하는 통계자료의 수집, 분석, 정리, 보고서의 작성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보건의료행태 및 병원관리의 통계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 정리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의료경제론(Healthcare Economics)
경제학의 기본개념 및 분석틀을 활용하여 보건의료서비스의 생산 및 수요, 이에 기반을 두어 형성되는 의료서비스시장의 작동 기전에 대해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