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영전공(Energe Management)
전공 소개
에너지는 인간의 주거와 도시생활의 필수재로써 오랫동안 발달되어 왔지만, 근래에 환경문제 대두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탈석탄, 탈원전, 신재생에너지 부상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고 있다. 본 전공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에너지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더불어 에너지·환경정책 및 관련 경영이론 등 다양한 시각에서의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경험을 융합하여 에너지 사업의 효율적 경영과 에너지신기술·신사업 등을 중점 교육·연구 분야로 삼고 있다.
교육 목표
본 전공은 에너지와 환경, 집단에너지(지역난방),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신산업 등 전반적인 에너지 경영에 대한 정책과 이슈들을 연구하여 에너지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배양할 것이다. 특히, 에너지의 신기술 및 환경 변화에 따라 동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및 경험을 가진 전문가교육, 현장학습 등을 통한 Know-how를 전수하여 에너지에 대한 높은 안목을 가진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사회 및 조직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 국가차원에서도 새로운 에너지를 이끌어 가는 리더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
졸업 후 진로 및 혜택
- 에너지·환경 분야의 전문가
- 에너지 분야 공기업 및 에너지 기업 취업
-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분야에 대한 창업
- 에너지 건설턴트
- 에너지 공공기관, 일반기업의 임원 및 최고경영자 양성
교과편성표
구분 | 과목1 | 과목2 | 년도학기 |
---|---|---|---|
1차 학기 | 에너지와 환경 | 에너지 경제학 | 2019-1 |
2차 학기 | 신재생에너지Ⅰ | 열병합 발전론 | 2019-2 |
3차 학기 | 신재생에너지Ⅱ | 집단에너지 연구 | 2020-1 |
4차 학기 | 에너지 투자분석 | 에너지 신사업 세미나 | 2020-1 |
5차 학기 | 에너지의 미래 | 2021-1 |
교과목 해설
- 에너지와 환경(Energy & Environment)
기후변화협약으로 강화되고 있는 에너지 활용에 따른 환경규제의 제반 논의를 정리하고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제협약의 진전사항, 배출권거래제, RPS 등에 대한 제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에너지에 대한 환경규제 동향을 검토 - 에너지경제학(Energe Economics)
에너지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분석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입문과정으로 에너지의 중요성과 개념, 역사, 산업적 특성, 정부의 개입, 국제적 에너지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일관성 있는 관점으로 정리하여 에너지 분야를 이해하고 경제학적 기본개념을 파악 - 신재생에너지Ⅰ(New And Renewable EnergyⅠ) - 전기중심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풍력에너지, 연료전지 및 조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생산기술, 비즈니스모델, 관련 법규 등을 구분하여 논의 - 열병합발전론(Combined Heat And Power)
열병합발전 설비에 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열병합발전 기술 및 최적운영방안, 열병합발전의 효과에 대해 학습 - 신재생에너지Ⅱ(New And Renewable EnergyⅡ) - 열중심
문명의 발달에 따라 에너지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에서 화석 연료와 원자력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열에너지의 종류와 이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강의 - 집단에너지 연구(Study On The Intergrated Energy)
집단에너지의 정의, 설비운영, 비즈니스모델, 정책 및 법규 등 집단에너지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에너지 시장에서 집단에너지의 역할 이해 - 에너지신사업 세미나(Energy New Business Seminar)
개별 에너지신사업의 세부 주제에 대한 사례, 연구논문 분석을 지도하고 세미나로 발표하며, 연구논문의 완성도를 제고 - 에너지의 미래(Future Energy)
에너지의 신기술·신사업 등 새로운 패러다임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예측하고 탈원전·탈석탄 등 새로운 에너지 정책방향에 맞추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에너지 산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연구 - 에너지 투자분석(Energy Investment Analysis)
에너지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다양한 비용요소를 검토하고 미래의 기대 수입흐름과 위험요인을 비교함으로써 에너지 설비투자의 내부수익율을 계산하고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다양한 투자사업의 수익성을 판단할 수 있는 분석능력 배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