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목 편성표
1차 학기 | 연구조사방법론(정승언), 경영분석(전성민), 창업론, 퍼스널리티 이미지특론 |
---|---|
2차 학기 | 재무관리(심형섭), 경영정보론(안연식), 영업역량론, 보건의료 빅데이터 세미나, 경영학세미나2 |
3차 학기 | 인사관리(조성준), 마케팅(유진영), 세무관리, 산업 및 조직심리학 |
4차 학기 | 전략경영(조성준), 소비자행동론(유진영), 회계학, 경영학세미나1 |
붉은색 과목은 사이버 강좌 과목임.
- 연구조사방법론(Research & Survey Methodology)
사회과학 조사연구의 실제적 설계와 표본설계, 설문지 작성, 조사과정관리, 자료분석방법 등 조사연구에 관련된 제반문제의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 회계학(Accounting)
관찰대상으로서의 회계현상, 즉 회계의 산출물(output), 회계담당자의 행위, 회계의 요소 등에 관한 일반적인 원리 및 체계를 연구한다. - 창업론(New Start-up in Business)
창업에 관한 개념을 이해하고 사업의 타당성 분석과 사업계획 작성, 제조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유통업, 소점포 창업의 기본절차에 대한 이해와 실습으로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중소기업 창업지원 제도에 대해서 학습한다. - 퍼스널 이미지특론(Advanced Image of Personality)
개인의 특성, 외모, 성격, 직업, 언어습관 등을 분석하여 최상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기업 또는 기관의 재정을 효율적으로 조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이해하고 실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 경영정보론(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경영정보의 기본 골격이 되는 정보시스템의 계획, 실행 및 평가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정보기술에 대한 미래의 발전방향 등에 대한 포괄적 학습도 병행된다. - 영업역량론(Selling Competency)
저성장 시대에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영업역량에 관해 토론하고 공부하는 강의이다. 강의는 일곱 가지 요소의 영업역량을 강의노트와 영화동영상 Clip, 실제 사례, 스토리로 구성하였으며 Mini 사례연구를 통해 학습 효과를 배가하였다. 아울러 해외 유수 저널의 Case Study 연구를 통해 최근 영업의 트렌드와 이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보건의료빅데이터세미나(Seminar in Health Big Data)
건강과 의료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환경, 정책, 경제환경, 사회적 구조, 개인들의 생활양식 등의 다양한 생태학적 요인들을 학습하고 건강향상과 질병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 인사관리(Personnel Management)
인간의 능력을 개발 육성하여 경영활동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사기능 수행에 필요한 기능과 기법을 연구한다. - 마케팅(Marketing)
비즈니스 전개에 있어 기업이 수행하는 마케팅 핵심전략, 가격전략과 비가격전략, 그리고 광고 및 홍보를 비롯한 각종 촉진전략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효율적인 유통은 물론 제품의 특징 등을 통합적으로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을 습득한다. - 세무관리(Tax Management)
기업의 세무관리를 위한 세법과 정부지원제도를 이해하고, 특히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지방세 제도에 대한 학습과 실무와 연계된 실습을 실시한다. - 산업 및 조직심리학(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인사, 조직연구를 위해 필요한 심리학적 기초를 다루며, 조직에서 인간의 행동, 작업성과 또는 심리적 반응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및 측정방법을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 전략경영(Strategic Management)
기업의 장기 전략계획의 수립을 위한 전략결정의 요소, 기법 및 실천대안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BCG의 제품 포트폴리오 관리기법, SPI의 PIMS Database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실제 전략경영을 이해하기 위한 사례연구도 병행한다. - 소비자행동론(Consumer Behavior)
소비자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을 위하여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과 이에 영향을 주는 내외적 요소를 이해하여 이를 마케팅관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경영분석(Business Analysis)
경영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한 각종 재무제표 및 기타 여러 자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석하는가 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 경영학 세미나(Seminar on Korean Management)
각 학기마다 시사성 있는 경영학 관련 이슈 등의 특수문제를 발췌하여 세미나를 통하여 이론과 실제에 적응되도록 연구·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