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공공의회정책)
- 시민참여 거버넌스 Civic Participation & Governance
- 현대 민주주의의 발전에 따라 시민 참여의 확대와 함께 다양한 구조의 거버넌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시민 참여의 의미와 범위,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수행하고 다양한 시민참여의 양상과 거버넌스들을 검토한다.
- 자치단체와 지방의회 Local Government & Local Assembly
- 지방정치 현상을 둘러싼 다양한 이론들과 풀뿌리 민주주의로 상징되는 지방자치제도의 의의와 구성, 각 제도에 따른 자치단체와 의회 관계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기반으로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역사, 발전 과정, 운영 특징, 주민참여 현상 등을 검토함으로써 자치단체와 지방의회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정책결정이론과 실제 Theory & Practice of Policy making
- 민주국가에서 정책결정과정은 문제의 확인부터 평가와 환류까지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는 역동적 과정이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들이 제기되었고 여전히 그 유효성을 끊임없이 시험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이론적 학습과 함께 실제 정책 결정 과정 사례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한국정치론 Korean Politics
- 본 과목은 한국의 정부, 정치, 정책에 대한 것이다. 이 과목은 우선 귄위주의부터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까지의 정치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덧붙여, 이 과목은 한국의 정치와 정치경제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정치와 정책결정을 형성한 정치제도를 조사한다. 이 과목은 한국정치의 대의제, 대표, 책임정치의 메커니즘과 함께 정책결정자가 소유하고 직면한 권위와 강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과목은 한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학을 정부와 정치적 요인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 정당정치의 이해 Understanding of Party Politics
- 현대 의회 민주주의에서 정당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건전한 정당정치는 건전한 의회정치와 민주주의의 토대가 된다. 이 과목에서는 정당의 역사, 역할, 조직, 이념, 정당 체계, 제도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현재 선진적인 민주주의 국가에서 정당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현상과 변화를 학습한다.
- 사회정책의 이해 Understanding of Social Policy
- 사회정책은 광의로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위험과 문제를 해결하는 모든 정책을 뜻하지만 주로 복지, 노동, 가족, 주택 정책 등 삶의 질과 관련된 정책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그 폭과 깊이가 변화되어 왔다. 사회정책을 이해하고 수립하기 위해서는 그 역사와 함께 관련된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도전에 대한 통찰력이 필요하다.
- 갈등관리와협상 Conflict Management & Negotiation
- 현대국가의 정책 현상은 날로 복잡해지고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갈등이 발생하고 협상을 통해 정책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나타난다. 공공정책과 의회 운영에 필수적인 갈등관리와 협상의 여러 기법을 학습하고 검토한다.
- 미디어와 공공정책 Media & Public Policy
- 현대는 미디어의 발전을 넘어 미디어의 폭발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쏟아지는 정보량 증대와 개인간의 소통 확대는 공공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과목은 정책전문가에게 필수적 미디어 및 소통에 대한 이해와 공적 사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특징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 한국사회의 이슈 Contemporary Issues in Korea
- 의회정치는 끊임없이 제기되는 정치, 경제, 사회, 외교안보적 이슈들을 직면하고 정치적, 혹은 법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현재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해결되지 못한 이슈들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진행과정을 탐구하여 당장의 이슈 해결에 대한 안목뿐 아니라 미래의 유사 이슈들에 대한 대응력을 높인다.
- 정치와 공공정책 Politics & Public Policy
- 공공정책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활동의 지침으로 각종 법령부터 사업계획까지 포괄한다. 이 중 가장 상위의 공공정책 지침은 법령이며 이를 다루는 대부분의 활동은 정치의 영역에 속한다. 이 과목에서는 정책에 대한 일반 이론을 학습하고 정치와 연관을 맺는 구조를 이해한다.
- 재정과 경제정책 Public Finance & Economic Policy
- 의회의 가장 핵심적이고 전통적인 역할은 조세와 예산이며 현대 의회에서는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을 법령의 형태로 조율한다. 의회의 정책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세와 예산에 대한 지식과 경제 정책의 종류와 특성을 학습한다.
- 한국외교안보론 Foreign Policy & Security of Korea
- 한국은 개방형 통상국가로서 국가단위부터 자치단체까지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동시에 휴전 상태인 분단국가이자 세계 초강국들의 이해가 밀집된 지정학적 조건에 의해 안보적 위협이 상존하는 국가이다. 이 과목에서는 한국의 외교안보적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한 국제외교와 통상 구조, 한반도 평화체제를 둘러싼 안보적 이슈들에 대한 지식과 시각을 갖추도록 돕는다.
- 민주주의와 의회 Democracy & Assembly
- 민주주의의 역사는 곧 의회의 역사라 할만큼 민주주의와 의회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민주주의 개념, 가치, 운영 원리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의회 제도의 의의와 발전, 한국 국회 제도 구성과 권한, 운영 과정을 검토한다.
- 선거론 Theory & Practice of Election
- 민주국가에서 선거는 의회 공직자를 선출하는 유일한 제도이다. 다양한 선거제도와 유권자 행동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기반으로 선거 정치를 분석하고 선거 캠페인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여러 수단과 사례들을 검토한다.
- 정책연구방법론 Methodology of policy Research
- 정책연구는 사회현상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과목에서는 경험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나아가 사회조사를 시행하고 해석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법들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