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목
행정학과
- 사회과학방법론 Methodology for Social Science
- 행정학의 보다 깊은 연구를 위해서는 사회과학의 다른 여러 분야의 이론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그 이론들과 함께 방법론에 과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 정책학개론 Introduction to Policy Science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최신 학문인 정책학에 대한 강의를 통해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우선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참여자와 이들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산출정책과정을 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 집행 그리고 정책평가로 구분하여, 각 과정의 연구 경향 및 주요이론들을 설명한다.
-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 조직에 관한 이론을 고전이론에서 현대이론에 걸쳐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특히 조직에 관한 일반적 원칙과 구조, 환경, 동기이론, 리더십 등 실제적 응용에 수반되는 제반문제들을 다룬다.
- 행정이론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
행정학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행정현상에 관한 제반 문제들을 비교 연구한 후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행정통계론 Statistics for Public Administration
- 과학적인 조사과정을 통해 나타난 표본(sample)의 특성을 어떻게 해석하고 모집단(population)을 위한 정책적인 함의를 어떻게 도출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둔다. 과학적 조사과정에 놓여 있는 주요한 개념, 조사설계과정, 표본추출을 통한 자료수집, 자료분석, 자료해석 등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사회복지학과
-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
- 사회복지제도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주된 사회적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 각각을 분석하여 사회적 에방대책 및 해결대책을 연구함과 아울러 구체적 사회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윤리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윤리적 이슈에 대한 인식과 사고훈련을 통해서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가치와 철학, 그리고 윤리학에 대해서 학습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해서 논의한다. 특히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과 실천원칙을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분석ㆍ연구하고, 직접적ㆍ간접적 서비스에서의 전문적 윤리를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윤리적 갈등상황사례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전문적 자질을 기르도록 한다. -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 사회복지정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복지 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과 인접영역들 경제정책, 사회복지계획 및 사회복지행정)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사회복지정책의 결과인 복지국가에 대해 이해하고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알아본다.
- 사회복지행정론 Theory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공적 및 민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 조직과 이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 조직을 관리.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 정신건강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익히며, 정신건강을 해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의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선수과목
행정학과
- 경제학개론 Principles Economics
- 경제문제를 해명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현대 경제이론의 기초개념 및 본질을 미시적인 분석방법 또는 원리론적 차원에서 다룬다.
- 민법총칙 General Theory of Private Law
- 재산법과 가족법으로 구성된 민법 전반에 공통되는 기본 원칙을 연구하는 민법기초이론이다. 권리의 주체로서 자연인과 법인의 권리능력, 행위능력, 권리의 객체로서 물건에 관하여 고찰하며 법률행위, 기간, 소멸시효 등을 공부한다.
- 부동산학개론 Introduction to Real Estate
-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개발, 투자,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초 분야로 민법 총론과 경제학 원론, 행정학 개론, 정보처리, 부동산학 개론 등이 개설돼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부동산 정보, 법률, 경제, 정책, 경영, 개발 분야 등으로 세분화해 배우게 된다.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서는 토지제도나 지역개발론, 환경행정 등을 부동산 경제 분야에서는 부동산경제학, 부동산마케팅, 부동산투자 등을 배울 수 있다. 부동산 경영과 관련해서는 부동산 관리론, 감정평가론, 부동산 컨설팅 등의 전반적인 부동산학을 연구한다.
- 지방자치론 Local Government Studies
- 지방자치의 역사를 살펴보고, 학문적 성격을 정의하며 실제 지방자치의 제도 및 운영사례를 이해하는데 본 교과목의 중점을 둔다. 지역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지방정부의 조직, 기관구성, 역할을 이해하고 지방자치의 추세와 발전방향을 검토한다. 세계 각국의 지방자치제도 및 운영사례를 비교하고 지방정부와 주민조직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특히 본 교과목에서의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을 연계하는 논리를 함께 검토한다.
- 지역개발학개론 Introduction to Regional Development
- 지역개발의 학문적 성격을 정의하고 지역개발의 개념과 기초이론을 이해시키며 지역개발에 필요한 지역개발방법 및 지역개발전략 등과 국내의 개발사례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사회복지학과
- 사회보장론 Social Welfare
- 사회보장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복지국가에서 사회보장의 기능을 연구하고 사회보장제도의 내용과 국민경제, 고용,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한다.
-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전체의 비복지(Diswelfare)와 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과 미래 예측적이고 문제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종합적 지식의 습득과 함양을 하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개념과 구성,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의 발달, 사회복지의 평가와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의 방법, 사회복지의 분야, 지방자치와 지역복지, 사회복지의 자원, 사회복지와 복지국가, 우리나라 사회복지,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사회보장론 Social Welfare
- 사회보장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복지국가에서 사회보장의 기능을 연구하고 사회보장제도의 내용과 국민경제, 고용,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한다.
- 사회복지법제 Law of Social Welfare
-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는 생존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법영역이다. 이는 사회연대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자본제 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모순을 지양, 극복함으로서 복지국가 이념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 인간의 발달과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구분하고 사회, 문화 및 심리적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므로 인간행동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 사회복지발달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
사회복지제도의 역사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제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고찰하고, 사회복지의 가치, 사상, 철학의 변화를 학습한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국가와 사회에서 사회복지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고, 미래 사회복지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하여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