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재양성, 수도권집중현상으로 인한 지역소멸위기, 경제위기로 인한 고용불안정 등 현재 대한민국이 당면한 국가 현안을 ‘대학혁신’이라는 교육의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국내외 대학 및 기업 채용현장을 밀착 취재하고 현재 대학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창조적 패러다임으로 바꿈으로서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 성장 어젠다를 제시한다.
방송일시: 2023.5.17.(수)~5.31.(수) 밤9시55분~10시50분, EBS 1TV
- 글번호
- 86639
<3부>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 수정일
- 2023.05.24
- 작성자
- 커뮤니케이션팀
- 조회수
- 451
- 등록일
- 2023.05.16
* 방송일시 : 2023년 5월 24일(수) 밤 9시 55분~10시 50분, EBS1 (본방)
누구에게나 과거는 있는 법. 대학도 마찬가지다. 하버드에 6번이나 합병될 뻔했던 MIT. 과수원과 채소밭 주변에서 시작된 스탠퍼드. 교회 옆 건물에서 불과 8명의 학생과 문을 연 컬럼비아. 지금은 세계를 호령하고 있는 글로벌 연구중심대학들의 시작도 이토록 초라했다. 그러나 2023년 현재. 상황은 완전히 뒤바뀌었다. 98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 최고의 공대 MIT. 혁신의 상징 실리콘밸리를 지탱하는 스탠퍼드.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100년 내외의 시간 동안, 이 대학들에 무슨 일이 있던 것일까? <다큐멘터리K 대학혁신 3부: 최고의 대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에서는 인지심리학자 김경일(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정치학자 김지윤, 과학철학자 장대익(가천대 창업대학 학장 및 석좌교수)가 프리젠터로 나서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의 탄생 역사를 통해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지, 글로벌 대학 패권은 어떤 힘에 의해 이동하는지, 그 흐름 속에서 대다수의 한국 대학이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짚어보려 한다. 1088년 이탈리아에서 세계 최초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이 설립될 때만 해도 대학은 그저 학벌과 사회적 출세를 보장하는 ‘지위권력’이었다. 1810년 독일의 베를린 훔볼트 대학이 탄생하고 나서야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모를 시작했고, 제 2차 세계대전을 시작으로 정부 지원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 너머의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창조권력’이 된 것이다. 물론 모든 대학에 해당하는 말은 아니다. ‘취업사관학교’, ‘지나친 서열화’, ‘졸업장 따러 가는 대학’ 등의 불편한 수식어가 익숙한 한국 대학은, 창조권력으로 기능하기보다 과열된 입시 경쟁 속에서 지위권력의 단맛만 추구해 왔다. 이로 인한 한국 대학의 전례 없는 위기는 각종 수치를 통해 여실히 확인할 수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19 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내 대학이 사회적으로 필요한 인재를 제대로 양성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못하다'는 의견이 과반수(55.4%)를 차지했고, 지난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대학교육 경쟁력 평가에서는 63개국 중 46위로 최하위권에 속하는 불명예를 얻은 것이다. 암담한 현실일지라도 희망은 있다. 대학 역사에 저명한 하버드 대학 윌리엄 커비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누구도 가만히 서서 정상을 유지하지 않습니다. 현재 미국 대학이 잘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보장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죠. 대학의 세계에선 무슨 일이든 가능하니까요.” 한국 대학은 어떤 역사를 그려갈 것인가. 살아남을 것인가, 사라질 것인가. 그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대학 역사 이야기’가 그 답을 말해준다. |
예고편 시청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