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토그라피 융합전공
본 융합전공은 예술·체육대학 미술 디자인학부 내 2개 전공에서 조형 및 디자인의 학문영역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전공능력 강화 및 전공과제 해결 지식의 사진의 조형성, 상업성, 디자인성 등의 사진학문의 특성을 통해 문화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인적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 제2의 전공이다. 본 융합전공은 예술·체육대학 미술디자인학부 내의 학제간 융합과 전공간의 지식 및 학점교류를 통해 각 5개 전공과정에서 제약된 교육지식의 확대화 효율적 기회를 제거하고 새로운 전문인력양성 클러스트를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사진분야의 전문 인프라를 구축한다. 본 융합전공을 통하여 조형영역에 있어서 각 개인의 작품성의 밀도 및 표현성에 창의적 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는 다각적 교과과정을 제공하고, 디자인영역에 있어서는 현대 산업현장의 응용성과 유연성을 반영한 현장지향적인 전문디자이너로 육성한다.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이론 2,3,4
학년구분 없음1 전공필수 (공통) CREATIVE PHOTOGRAPHY 1 3 0 3 전공필수 (공통) STILL-LIFE 1 3 0 3 전공필수 (공통) STILL-LIFE 3 3 0 3 소계 9 0 9 2 전공필수 (공통) CREATIVE PHOTOGRAPHY 2 3 0 3 전공필수 (공통) STILL-LIFE 2 3 0 3 전공필수 (공통) STILL-LIFE 4 3 0 3 소계 9 0 9 1,2 전공선택영역 타과전공 (ex. 회좌·조소라면 디자인 수업) 6 전공 내 전공과목 18 연계학부(과)
디자인과(시각, 산업디자인)
회화·조소과소계 24 0 이수학점 전공 전공필수 18 0 18 전공선택 24 신청대상 미술디자인대학 5개 전공 재학생 이수학점 연계전공 전공필수 영역 18학점 총 42학점 연계학부(과) 전공선택 영역 제 1전공 외 6학점 제1 전공 내 18학점 자격취득 절차 융합전공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융합전공 졸업자격원, 포트폴리오 제출 → 자격심의 → 포토그라피 학사학위 취득 이수기간 2학년차부터 4학년차까지 재학 기간 중 이수 문의사항 최영호 주임교수 사무실 : 예술체육대학1 203호-B
조교실 : 예술체육대학1 152호문의처 : 031-750-5759 -
나노기반 기능성 신소재
개요 및 교육목표
플랫폼으로써의 나노와 벌크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과학 기술 분야에 나노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함은 물론 나노 수준에서 물질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성 신소재의 설계 및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수준의 기술을 갖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융합 기반의 교과목을 개발한다. 또한 미래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능성 신소재 분야를 발굴하고, 이러한 융합 분야에서 요구되는 다학제적 교과목을 발굴한다.
나노기반 기능성 신소재 융합전공 과정의 모든 학생이 나노 수준에서의 물성 제어 및 분석이 가능한 제조, 계측, 및 회로 장비에 대한 활용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게 하여 현장 맞춤형 인재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교육과정표
구분 화공생명공학과 개설과목 전자공학과 개설과목 1-1 1-2 2-1 유기화학1
화공양론1기초회로실험1
화로이론1
물리전자공학1(필수)2-2 유기화학2 기초회로실험2
회로이론2
물리전자공학23-1 분자생물학
열역학1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13-2 열전달
반응공학응용전자회로
전자공학실험2
반도체공학4-1 전기화학공학
재료공학(필수)전자공학실험3
전자디스플레이 공학(필수)4-2 고문자공학
생물화학공학
에너지공학(필수)광전자공학 신청 대상 화공생명공학과, 전자공학과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 학점 나노기반 기능성 신소재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필수이수 12학점
-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8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나노기반 기능성 신소재 학위 취득 문의사항 김일태 주임교수 사무실 : 창의관 415-B 문의처 : 031-750-8835 -
기능성 생물소재
개요 및 교육목표
기능성 생물소재 융합전공은 우리 대학이 지향하는 3대 교육목적인 미래를 지향하는 창의적 세계인, 나눔을 실천하는 열정적 실천인, 최고를 지향하는 탐구적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일차적 교육목적을 둔다. 또한 사회구성원으로서 각 분야에 적응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기능성 생물소재 융합과정 융합전공은 동물, 식물 및 미생물 등의 생물자원을 활용한 제품생산기술을 바탕으로 인류의 건강유지 및 질병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가장 큰 욕망중의 하나인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유용물질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학문이다. 본 전공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체계를 통한 논리적 사고를 갖춘 기능성 생물소재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세계 공동체를 지향하는 국제적 시각을 갖출 수 있는 교육체계의 구축으로 창의적인 세계관을 갖춘 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교육과정표
구분 기능성생물소재 연계전공 개설과목
(융합전공)생명과학과 개설과목 식품영양학과 개설과목 식품생물공학과 개설과목 한의예과 개설과목 1-1 식품생명공학개론(2) 1-2 영양학(3) 생물유기화학(3) 2-1 약용식물학(3) 세포생물학1(3)
비교해부학 및 실험(3)영양생리학(3)
식품화학(3)일반미생물학(2)
식품생화학1(3)약용자원학(2) 2-2 분석화학실험(3)
*화장품공학연계전공미생물학1(3)
생화학1(3)식품미생물학 및 실험(3)
영양생화학(3)
식품분석 및 실험(3)식품미생물학(3)
식품생화학2(3)본초학총론(2) 3-1 나노재료공학(3)
*화장품공학연계전공분류학 및 실험(3)
생태학(3)
생화학2(3)식품위생학(3) 관능검사(2) 3-2 고분자과학(3)
*화장품공학연계전공분자생물학1(3)
동물생리학(3)임상영양학(3) 분자생물학(3)
식품면역학(3)4-1 제제공학(3)
*화장품공학연계전공건강기능식품 및 DB활용(3)
노화와 영양(3)기능성식품학(3)
유전공학(3)4-2 실험동물학(3) 면역과 알레르기(3) 식품법규(2)
식품품질관리(3)* 융합전공 코드쉐어링 교과목
신청대상 식품생물공학과, 생명과학과, 식품영양학과, 한의학과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기능성 생물소재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2학점)
-- 연계학과 전공 30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기능성 생물소재 학위 취득 문의사항 임석원 주임교수 사무실 : 예술대학2 426호 문의처 : 031-750-5873 교과목 변경 현황
-
미디어 컴퓨터
개요 및 교육목표
4.0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새로운 지식 분야가 탄생하면서 융합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사회에서도 이러한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미디어·컴퓨터 융합전공은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 맞춰 컴퓨터 활용 능력과 빅데이터 분석 및 응용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려는 교육목표를 가진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운용 능력을 습득해서 공공기관, 기업, 언론 등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습득하고,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기획하는 능력을 습득해서 빅데이터로부터 부가가치를 만드는 역량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융합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은 공공기관, 기업, 언론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담당 업무에서도 언론, 컴퓨터 관련 분야 이외에 마케팅, 기획 등의 업무도 담당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어 진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교육과정표
구분 미디어컴퓨터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개설과목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1-1 프로그래밍입문 width Python(3)*
‹데이터과학연계전공›1-2 C언어(3) 2-1 저널리즘 이론(3) 웹프로그래밍(3) 2-2 가상현실콘텐츠(3)*
‹디지털엔터테인먼트부전공›커뮤니케이션 이론(3)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3)JAVA(3)
데이터베이스(3)3-1 데이터과학 입문(3)*
‹데이터과학연계전공›
언어데이터 분석 및 처리(3)*
‹인지과학부전공›미디어산업과 정책(3)
영상제작 실습(3)모바일프로그래밍(3)
디지털컨텐츠기획(3)
소프트웨어공학(3)
정보보호개론(3)3-2 미디어조사방법론(3) 4-1 차세대 영상제작(필수) 미디어콘텐츠 유통(3) 4-2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필수)
데이터 product 개발하기(3)*
‹데이터과학연계전공›탐사보도론(3) 영상처리(3) * 융합전공 코드쉐어링 교과목
신청대상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컴퓨터공학과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미디어 컴퓨터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필수이수 6학점
-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8학점
- 연계학과 전공 18학점
- 연계학과 18학점 중 최대 9학점까지 코드쉐어링 과목 인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미디어 컴퓨터 학위 취득 문의사항 오대영 주임교수 사무실 : 가천관 928호 문의처 : 031-750-5258 교과목 변경 현황
-
데이터 과학
개요 및 교육목표
‘데이터 과학’은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추출하고, 이를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 개인 정보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분석 기술의 고도화와 컴퓨터의 연산 처리 능력(Computing Power)의 향상으로 인해 이러한 데이터의 분석이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구글, 아마존, 넷플리스 등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회사들이 IT업계를 이끌고 있으며, 이는 전체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데이터 과학 융합전공은 데이터의 수집/분석/결과의 적용 등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프로세스 상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화하여 지식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비경계 융합 과정이다. 특히 데이터 과학의 특성상 데이터를 추출 관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기회로 연결하는 다학제적 융합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과정에서는 다양한 학과들이 참여하여 교과 과정을 구성한다.교육과정표
구분 데이터과학 연계전공 개설과목 (융합전공) 글로벌경영 개설과목 금융수학과 개설과목 응용통계학과 개설과목 산업경영공학과 개설과목 1-1 프로그래밍입문 with Python(3) 수학1(3) 1-2 웹프로그래밍(3) 경영통계학(3) 수학2(3) 고급프로그래밍 활용(3) 2-1 빅데이터 경영수학(3)
디지털비즈니스(3)금융IT프로그래밍1(3)
선형대수1(3)수리통계학1(3) DB구축 및 활용(3)
빅데이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3)2-2 벤처경영(3) 금융IT프로그래밍2(3)
선형대수2(3)수리통계학2(3) 3-1 데이터과학 입문(3) 디자인씽킹(3) 확률론(3)
수치해석(3)
핀테크(3)3-2 경영정보(3) 4-1 디지털 마케팅(3)
경영과학(3)계산금융 (캡스톤 디자인)(3) 금융시계열분석(3) 4-2 데이터 제품개발 프로젝트(3) 비즈니스모델과 신사업개발(3) 금융IT보안 (캡스톤디자인)(3)
응용수학특강 (캡스톤디자인)(3)데이터 공학 및 과학실무(3) 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데이터 과학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4개학과 재학 시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2학점
- 연계학과 전공 30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데이터 과학 학위 취득 문의사항 최선용 주임교수 사무실 : 가천관 605호 문의처 : 031-750-5387 -
지능형 행정 시스템
개요 및 교육목표
국내외적으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Global e-Gov 분야를 5대 분야로 구분하여 관련 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e-Gov 관련 SW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eGov의 핵심적 기술분야인 G-Cloud, e-Gov Framework, Big Data, Mobile services, Applications 등 5대 영역별로 신규 교과목을 개발하여 관련 융합 Platform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교과목을 개편하여 SW융합에 맞는 교과목을 신규 개발하였다. ICT SW 기술중심의 전자정부 인재 양성 플랫폼을 위해 관련 기초 교과목 및 응용교과목 중심의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글로벌 eGov SW training 플랫폼 구축). 지능형행정시스템 융합전공 과정의 모든 학생이 Training System 및 교육을 받아 Global e-Gov SW인재 및 ICT 미래기초인력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지능형행정시스템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행정학과 개설과목 1-1 파이썬(3)
컴퓨터공학개론(3)행정학개론(3) 1-2 C언어(3)
이산수학(3)
컴퓨터구조(3)2-1 웹프로그래밍(3)
리눅스(3)
자료구조(3)
C++(3)
확률과통계(3)행정법총론(3)
인사행정론(3)
기술변화와 미래행정(3)
조직론(3)2-2 행정정보처리기술(3) 운영체제(3)
데이터베이스(3)
컴퓨터그래픽스(3)
JAVA(3)
데이터통신(3)재무행정론(3)
지방자치론(3)
현대행정이론(3)
행정학적 상상력(3)3-1 소프트웨어공학(3)
모바일프로그래밍(3)
알고리즘(3)
인공지능(3)행정조사방법론(3)
정책학원론(3)
협상론(3)
복지행정론(3)3-2 ICT행정융복합(3) 데이터처리프로그래밍(3)
기계학습프로그래밍(3)
웹DB 프로그래밍(3)P실무 프로젝트(3)
공기업론(3)
행정통계학(3)
한국정부론(3)
조직형태론(3)
R&D 연구행정실무(3)4-1 IT특강(3)
정보보호(3)지방자치세미나(3)
정책사례세미나(3)
공공데이터관리론(3)
행정학연습(3)
행정개혁론(3)4-2 지역개발론(3)
행정사례세미나(3)
과학기술공공관리론(3)
복지정책세미나(3)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가능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지능형행정시스템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2개 각과 재학시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2학점
-- 연계학과 전공 30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지능형행정시스템 학위 취득 문의사항 조영임 주임교수 사무실 : 산학협력관 315호 문의처 : 031-750-5800 -
지능형 데이터 분석 및 보안
개요 및 교육목표
대의 흐름에 따라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첨단산업을 이끌기 위해서는 안전한 정보보호 기술이 밑바탕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정보보호 인력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는 ‘실무 능력’을 갖춘 인력이 부족으로 인해 체계적인 교육의 문제가 부각되며, 전문인력 공급을 위한 대안으로 정책과 사업지원 등으로 인한 정보보호 융합과정이 사회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교육계의 요구와 문제에 따라 본 ‘지능형 데이터 분석 및 보안 융합전공’은 대학 보안 인재 양성을 위해 미래 지향적 공학계열 커리큘럼을 , 비경계 융합 전공 개발에 목적에 맞게 보안 및 데이터 분석(기계학습 등)의 기술을 공학과 사회과학 이론을 다학제 융합 교육과정을 통해 지도한다. 정보보안 전공은 IT 미래에서 국가 안보 및 국가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중요성이 높고, 특히 정보보호는 기술로만 해결이 되지 않기에 다양한 학과의 융합으로 정보보호와 관련된 기술과 정책이 공존해야 함을 교육으로써 시작하여 역량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보안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한 미래형 스마트 인재 양성을 위한 이공계 교과과정 분석 및 교육과정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기존의 정보보안전공들의 교과과정을 대상으로 미래수요 대응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타 분야 확장이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이다. 정보보안은 정보화 사회의 핵심적 요소로 전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한국으로서도 중요성이 매우 높으며, IT 기반 미래 성장산업 육성에서 산업적 중요성이 강조될 뿐 아니라 안보 등의 측면에서도 국가전략적 중요성이 높은 분야이다. 특히 지능형 정보보호는 미래 정보보호 기술에 핵심적 기술 분야로서 본 교육과정을 통해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지능형 데이터 분석 기술을 비롯한 정보보안 이론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교육과정표
구분 지능형데이터 분석 및 보안 연계전공 개설과목 (융합전공)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경찰행정학과 개설과목 1-1 파이썬(3) 1-2 2-1 자료구조(3)
리눅스(3)
확률과통계(2)범죄학(3) 2-2 운영체제(3)
데이터베이스(3)
데이터통신(3)국가정보학(3)
공개정보활용 및 정보분석(3)
범죄심리학(3)3-1 데이터마이닝(소프트웨어분석설계)(필수)(3) 알고리즘(3)
인공지능(3)소년범죄론(3)
경찰연구방법론(3)3-2 사이버포렌식(3)
지능형 보안 데이터 분석(필수)(3)기계학습프로그래밍(3)
웹 DB 프로그래밍(3)산업보안론(3) 4-1 정보보호(필수)(3) 빅데이터(3) 경찰생활안전론(3) 4-2 클라우드프로그래밍(3) 경찰윤리(3) 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지능형 데이터 분석 및 보안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필수이수 9학점
- 3개 학과 재학 시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8학점)
-- 연계학과 전공 15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지능형 데이터 분석 및 보안 학위 취득 문의사항 한명묵 주임교수 사무실 : AI공학관 432호 문의처 : 031-750-5522 교과목 변경 현황
-
화장품 공학
개요 및 교육목표
화장품공학 융합전공에서는 글로컬 역량을 갖춘 화장품 제형 개발/제조 융합 전문인력 양성하며, 현장 중심형 교육과정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Global 화장품 산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 아울러 전문화된 현장 실무형 강의 및 실험실습을 통해 화장품 연구/산업/교육 전문가 배출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화장품 공학 연계전공 개설과목 (융합전공) 화공생명공학과 개설과목 바이오나노학과 개설과목 생명과학과 개설과목 1-1 1-2 2-1 유기화학1(3) 생화학1(3) 세포생물학1(3) 2-2 분석화학실험(3) 생화학1(3)
미생물학1(3)3-1 유체역학(3)
열역학1(3)나노재료공학(3) 생화학2(3) 3-2 기초화장품학(필수)(3)
코스메틱 물리화학(필수)(3)열전달(3) 고분자과학(3) 4-1 화장품제조 및 평가(필수)(3)
코스메틱 분체공학(필수)(3)제제공학(3) 4-2 콜로이드 및 계면과학(3) 면역학2(3) 신청대상 화공생명공학과, 바이오나노학과, 생명과학과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화장품공학 연계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필수이수 12학점
-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5학점)
-- 연계학과 전공 15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화장품공학 학위 취득 문의사항 이영철 주임교수 사무실 : 바이오나노연구원 512호 문의처 : 031-750-8751 -
메타버스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과 가상공간이 하나로 연결되어 끊임없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세상을 창조해가는 메타버스의 비전이 실현화 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영상 공학 및 문화와 예술 기술을 아우르는 산업 및 학문으로 기존의 개별 학과별 교육과정으로는 급변하는 산업의 융합 인재 수요를 충족 하기엔 한계가 존재합니다. 메타버스 2.0 시대를 맞아 개별 전공을 허문 융합 역량 강화 교육이 요구됩니다. 본 융합 전공을 통하여 학생들은 메타버스의 개념과 미래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성하는 각 분야의 지식 습득 및 연계 교육을 하는 교화 로드맵을 경험하며 융합 인재로 거듭납니다.
교육과정표
구분 메타버스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AI·소프트웨어 학부 개설과목 경영학부 개설과목 동양어문학과 개설과목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개설과목 미술·디자인학부(디자인) 개설과목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창업 교과목 1-1 프로그래밍기초(3)
웹프로그래밍(3)한자의이해(3) Creative Practice1(3)
디자인 스케치 및 제도(3)벤처창업시뮬레이션(2)(1학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업창업론(2)(2학기)1-2 문제해결기법(3) 동양문학의이해(3) Creative Practice 2(3)
디지털 2D 디자인(3)2-1 메타버스와 미래사회(3)(전필) 자료구조 및 실습(3)
객체지향프로그래밍(3)디지털비지니스(3) 영상기획론(3) 디자인과 색체(3)
Digital 3D Design(3)C++(3) 2-2 메타버스 서비스와 스타트업(3)(전필)
메타버스 VR/AR 디지털 콘텐츠 개발(3)(전선)일본문학개론(3)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3) 디자인과 문화(3)
Collaboration Design(3)컴퓨터 그래픽스(3)
데이터통신(3)3-1 메타버스 컴퓨터디자인 실습(3)(전선) 기술경영(3) 일본어학개론(3) 미디어산업과정책(3) 프로딕트시스템디자인(3) 영상처리(3) 현장실습 현장실습(방학기간 4~8주)(3)(전선) 3-2 컴퓨터 그래픽스(3) 서비스 경영(3) 중국고전산문과 현대중국(3) 미디어마케팅(3) 기계학습프로그래밍(3) 4-1 생활속의 메타버스 블록체인 NFT(3)(전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3) 비지니스모델(3)
스타트업 경영(3)일본근현대문학(3)
현대사회와 당시감상(3)미디어콘텐츠유통(3) 4-2 메타버스 케이스스터디(3)(전필) HCI(3) 신청대상 AI·소프트웨어학부, 경영학부, 동양어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미술·디자인학부(디자인), 컴퓨터공학과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메타버스 융합 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융합전공: 최소 12학점
- 본인학과 전공: 최소 15학점
- 선택: 연계학과 전공 + 창업교과목 + 현장실습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메타버스 학위 취득 문의사항 정윤현 주임교수 사무실 : AI관 421호 문의처 : 031-750-8795 -
인지과학 부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인지과학’ 부전공은 인문계열 어학 전공학생들 및 공학계열 컴퓨터공학 또는 생명공학 전공학생들이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에서 개설되는 ‘인지과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전공 인접 융합분야인 ‘인지과학’ 과정을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융합부전공 교육과정이다.
‘인지과학’ 부전공의 교육 목표는 심리언어학, 뇌신경과학, 컴퓨터공학 세 분야를 중심축으로 뇌․언어․인지․공학의 학제적 연구의 이론과 응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전공 이수학생들은 (i) 개별 주전공 지식의 활용 범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ii) 이러한 확장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졸업 후 취업 분야에 대한 전망을 확장하며, 나아가 (iii) 관련 융합분야의 대학원(융합의과학대학원, 특수치료대학원, HCI Lab, 뇌인지과학협동과정 등)에 진학할 수 있을 것이다.교육과정 운영
1. 대상 학부(과)
부전공 참여 학과는 다음과 같다.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자유전공(인문) 인문대학 유럽어문학과 의과대학 약리학과 IT융합대학 컴퓨터공학과 특수치료대학원 언어치료 인문사회 계열 전 학과(어학 전공) 자연공학 계열 전 학과(생명/ICT 전공) 예술체육 계열 전 학과 2. 신청 조건
부전공 대상 학생은 상기 언급된 인문사회 계열 전 학과(어학 전공) 및 자연공학 계열 전 학과(생명공학/ICT 전공)의 전 학년이며, 선수과목을 이수하고 일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학생들을 부전공 대상으로 한다.
3. 융합전공 교과목 이수조건
융합전공 및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인지과학’ 부전공 개설 교과목 중 2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인지과학 부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개설 '인지과학' 과목 1-1 프로그래밍입문 width Python*
<데이터과학연계전공>언어와 마음(2)
뇌과학과 인간의 삶(2)1-2 기호와 인지(3)
실험인문학(3)
인간 심리의 이해(2)2-1 의사소통과학의 이해(2)
인간지능과 인공지능(3)2-2 뇌신경과학의 이해(2) 3-1 언어 데이터 분석 및 처리(필수)(3)
데이터 과학 입문*
<데이터과학 연계전공>3-2 실험심리학 방법론(필수)(3) 4-1 4-2 인지과학 응용연습(PBL)(필수)(3)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미디어컴퓨터연계전공>* : 융합전공 코드쉐어링 교과목
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인지과학 부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20학점 이수- 필수이수 9학점
- 선택이수 11학점(코드쉐어링 3학점까지 인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인지과학 부전공 취득 문의사항 류수린 주임교수 사무실 : 비전타워 322-1호 문의처 : 031-750-8624 교과목 변경 현황
-
디지털엔터테인먼트 부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디지털엔터테인먼트 부전공은 인문학적 상상력, 예술적 감성을 바탕으로 공학적 구현 능력과 산업 구조를 이해하여 실제적으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기획, 개발, 경영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춘 전문기획자를 양성한다. 또한 디지털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의 핵심요소(인문학적 상상력, 예술적 감성, 공학적 구현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G-LAC의 기존 교양과정과 인문/예술/공학의 기존 연관과정을 물리적으로 융합(1차융합)하고, 1차 융합과정을 바탕으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분야의 전문기획자 양성에 필요한 보완과정을 신설함으로써 전문성을 제고하는 화학적 융합(2차융합)으로 인문+예술+공학이 상생하는 창의적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디지털엔터테인먼트 부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개설과목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글로벌경영학과 개설과목 1-1 축제기획과 문화콘텐츠(3)
디지털 엔터테인먼트(2)
디지털 2D/3D 디자인(3)1-2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3)
고전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2)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2)2-1 마케팅의 이해(3) 2-2 가상현실콘텐츠(3) 벤처경영(3) 3-1 디지털콘텐츠기획(3)
실감형콘텐츠제작기술(3)3-2 애니메이션(3) 4-1 게임엔진(3) 4-2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필수) 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1학년 2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디지털엔터테인먼트 부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20학점 이수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개설과목(4학점)포함 최소 17학점 이상 이수)필수이수 3학점 기타 - 위 교과목 중 부전공 신청 전에 이수한 교과목도 DET 부전공 이수 과목으로 인정함
- 예술계열 디자인 전공 [디지털 3D 디자인] 은 DET [디지털 2D/3D 디자인] 이수로 인정함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디지털엔터테인먼트 학위 취득 문의사항 이영호 주임교수 사무실 : 산학협력관 303 문의처 : 031-750-5011 교과목 변경 현황
-
IT디스플레이 융복합 플랫폼 융합전공
IT 디스플레이 융복합 융합전공은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이해 및 그에 따른 제조 공정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추후 다양한 IT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위한 구동 소자 및 회로 설계 위주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설계 분야 교육이 IT관련 학과에서만 접근 가능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자공학·컴퓨터공학과의 학부 3·4년차를 대상으로 전자공학 및 컴퓨터 분야 기초지식을 가지고 IT와 융복합이 된 디스플레이 구동 설계 및 소자 분석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을 받은 전문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현장 지향성과 유연성을 반영한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며, 디스플레이 산업체의 교육비용과 시간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졸업 후 즉각 이용할 수 있는 현장 지향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디스플레이 산업에 기여하고 있는 기업체 출신 산학협력중점교수진의 참여로 우수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교육과정표
구분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IT디스플레이 융복합 플랫폼 1-1 컴퓨터공학개론 1-2 기초공학설계 C언어
이산수학
컴퓨터구조2-1 공업수학 1
회로이론 1
기초회로실험 1C++
자료구조2-2 공업수학 2
회로이론 2
기초회로실험 2JAVA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3-1 전자공학실험 1 전보 디스플레이 공학(3-3-0)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3-3-0)3-2 전자공학실험 2
P-실무프로젝트P-실무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설계 실습 I(3-2-2)
디스플레이 소자 분석 및 제조 실험(3-2-2)4-1 전자공학실험 3 현장실습연계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디스플레이 시스템 설계 실습(3-2-2)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설계 실습 II(3-2-2)4-2 전자공학실험 4 디스플레이 광학 및 영상 (3-3-0)
차세대 디스플레이 (3-3-0)신청 대상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2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제1전공지정과목은 18학점 이상 취득
(전자공학과의 경우 전자공학과 전공, 컴퓨터공학과의 경우 컴퓨터공학과 전공)융합전공 24학점 취득 총 42학점 이상 취득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IT디스플레이 융복합 플랫폼 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사항 IT디스플레이 융복합 플랫폼 융합전공 연구원 비전타워 326호 031-724-4482 -
바이오-인공지능 융합전공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사회적, 산업적 변화로 인한 바이오 및 의료 분야의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래 신산업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하는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교육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이에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수요기반의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인공지능을 비롯한 4차산업 혁명시대에 필요한 빠른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산업발전을 리드하는 신산업 기술을 선도하고자 한다.
바이오 인공지능 융합 연계전공 과정의 모든 학생이 4차산업혁명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요구하는 바이오 및 의료 분야에서 요구하는 전문적인 실무역량을 갖춘 창의적 융합형 인재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교육과정표
구분 의용생체공학과 개설과목 컴퓨터공학과 개설과목 바이오 인공지능 융합전공 1-1 1-2 2-1 해부학 확률과통계
자료구조
Python인공지능수학I(3-3-0) 2-2 생리학
디지털시스템 설계C
데이터베이스
데이터통신인공지능수학 II 3-1 공업수학
의료기기이해C++ 인공지능기초프로그래밍(3-2-1)
기계학습(3-2-1)3-2 생체신호처리
P-학기 교과목IoT프로그래밍
JAVA
P-실무프로젝트인공지능고급프로그래밍(3-2-2)
딥러닝 I(3-2-2)4-1 의료영상 I 빅데이터
IT특강딥러닝 II(3-2-1)
의료영상처리(3-2-1)4-2 의료영상 II 산학연계R&D프로젝트(6-0-9)
장기현장실습2(12-0-12)신청 대상 전체 이학/공학 학생 이수 학점 융합전공 30학점 이상 +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2학점 총 42학점 이수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바이오인공지능 학위 취득 문의사항 손영돈 주임교수 AI공학관 225호 031-724-4485
032-820-4799 -
수소-하이브리드 융합전공
- 수소-하이브리드 연계전공은 수소경제시대의 본격적인 도래를 대비하는 과정
- 수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연관된 여러 분야의 공학지식을 교육
- 실무능력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산업계와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운영
- 특성화된 교과목 및 산학협력을 통해 본 과정을 이수한 학생을 해당 산업계로 진출시킴구분 기계공학과 화공생명공학과 수소-하이브리드 융합전공 1-1 1-2 2-1 2-2 3-1 에너지 엔지니어링 개론 및 실무(3-3-0)
이차전지공학 및 실습(3-2-2)3-2 (P학기)P- 실무프로젝트 (P학기)P - 실무프로젝트 수소시스템 SW실무(3-2-2)
연료전지공학 및 실습(3-2-2)4-1 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 에너지넌달실무(3-3-0)
나노소재공학(3-3-0)4-2 창의적종합설계(캡스톤디자인) 센서공학 및 실습(3-2-2)
신재생에너지와 전략변환(3-3-0)신청 대상 전체학과 (2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기계공학과 및 화공생명공학과의 P-실무프로젝트 및 종합설계 필수 이수 (6학점) 기계공학과 및 화공생명공학과 전공 18학점 이상 취득
(기계공학과와 화공생명공학과 외 학과의 전공과목은 심사를 통해 12학점까지 인정)융합전공 24학점 중 18학점 이상 취득 총 42학점 이상 취득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수소-하이브리드 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사항 수소-하이브리드 융합전공 연구원 비전타워 326호 031-724-4484 -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융합전공
최근 스마트화로 인한 전력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화와 에너지와 환경 자원 문제를 고려한 지능화된 운영 체계의 고도화 요구는 AI, 빅데이터, IoT와 같은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나 기존의 전통적 교육과정으로는 급변하는 산업체의 수요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있다.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연계전공은 이러한 산업체의 현장 수요를 기반으로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형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표
구분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1-1 1-2 컴퓨터구조 2-1 회로이론 회로이론 1 자료구조
C++2-2 회로망해석
전자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회로이론2
신호 및 시스템데이터베이스
데이터통신
컴퓨터그래픽스3-1 전력공학
전기기기 1
제어공학 1
전기설비설계
전력전자공학전자회로
제어공학
디지털공학
통신이론
센서공학알고리즘
소프트웨어공학
인공지능
데이터마이닝디지털시스템응용(3-2-2)
스마트에너지시스템 특론(3-2-2)3-2 전력시스템공학
전기기기2
통신시스템공학
제어공학2응용전자회로
제어시스템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반도체공학
RF공학기계학습프로그래밍
심화프로그래밍빅데이터기반 에너지 관리 및 분석(3-2-2)
임베디드기반 에너지 IoT(3-2-2)4-1 빅데이터 최적화기반 에너지관리(3-2-2)
신재생 연계운영 시스템(3-2-2)4-2 반도체소자응용 클라우드프로그래밍 AI기반 에너지 패턴분석 및 예측(3-2-2)
스마트그리드 계통연계 운영(3-2-2)신청 대상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2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제1전공 지정과목은 18학점 이상 취득 융합전공 24학점 중 18학점 이상 취득 총 42학점 이상 취득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AI·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에너지시스템 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사항 스마트그린홈연구센터 담당 연구원 한의과대학 100호 031-724-4483 -
아시아문화융합전공/부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본 과정은 아시아문화연구소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과, 동양어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과정에서는 아시아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소양과 전문성,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
1 인문학적 지식에 바탕을 둔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 교육
문학, 역사, 사상, 언어, 문화 등 인문학적 지식에 기반한 융복합 연구 방법을 통해 아시아 대중문화 전문가를 기른다. -
2 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
이문화 비교 연구 및 다양한 문화적 갈등에 관한 토의를 통해 문화적 소통과 공감 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
3 미래 문화 발전을 위한 창의적 문화 설계자 양성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 문화 융합 교율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 능력을 가진 문화 설계자를 양성한다.
신청대상 전학과 학생 이수학점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상
아시아문화 부전공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교과목 중 20학점 이상이수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 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아시아문화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중앙도서관 322호 031-750-8572 교육과정표
* 과목별 3학점
구분 아시아문화연구소 개설과목(융합전공) 한국어문학과 개설과목 동양어문학과 개설과목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개설과목 중국어문학전공 일본어문학전공 2-1 영상과 아시아문화(3)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3)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3) 현대일본의 대중문화(3) 2-2 대중문화의 이해(3)
한류와 아시아(3)중국역대명저탐구(3) 3-1 아시아 지역학1(3) 어문규범과 국어생활(3) 일본의 역사(3) 미디어산업과정책(3) 3-2 비교문화론(3)
한·일 대중음악의 역사(3)일본문화(컨텐츠 분석연습)(3) 4-1 문화 컨텐츠 기획과 제작 연습(3) 영화로 본 중국현대사회(3) 미디어콘텐츠유통(3) 4-2 한중일 신화와 문화컨텐츠(3)
아시아 지역학2(3)고전과 문화컨텐츠(3) 중국의 국가전략과 문화산업(3) 미디어와 국제사회(3) -
아시아 문화 융합전공 : 졸업학점 42학점 이상, 아시아문화 부전공 : 졸업학점 20학점 이상
-
위 과목 외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교양과목 중 6학점 이내로 관련 과목을 졸업 이수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관련과목은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와 매체', '동서문화의 교류', '동아시아사의 이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문학으로 보는 대중문화', '한국문화컨텐츠의 이해', '한글과 한국어',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이상 2학점), '디지털 2D/3D디자인', '문학과 예술',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오늘의 중국', '축제기획과 문화콘텐츠', '한국현대사와 세계', '한·중·일 문화와 영상콘텐츠(2020년 2학기까지 수강한 학생에 한해 학점 인정)' (이상 3학점)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부전공’ 학생은 한국어문학과, 동양어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개설 전공과목(12과목, 36학점), 아시아문화연구소 개설 전공과목(10과목, 30학점), 가천리버럴아츠칼리지 개설 교양과목(15과목, 36학점) 중 선택해서 이수할 수 있다.
-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이수자는 졸업시 ‘아시아문화’ 문학사 학위를 취득한다.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과목 연계도
아시아문화 융합전공 교육과정 해설
-
영상과 아시아문화(Visual Contents and Asian Culture)
국내외에서 제작된 다양한 영상 콘텐츠(영화 및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아시아문화에 대해 이해한다. 아시아 각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는지 살펴보며,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의 가치를 인정하고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 타문화 이해를 목표로 수업을 진행한다. -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Understanding Cultural Communication)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현대사회가 갖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양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인종, 성별, 세대, 이념, 종교 등의 다양한 문화 충돌, 문화 교류 및 융합을 다루면서 이를 통해 문화적 공감력을 함양하고, 창의적 사고 능력을 배양한다. -
대중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Mass Culture)
문화 현상으로서의 대중문화에 대한 역사적 안목을 갖고 그 의미와 기능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미디어에 의한 대중문화 전파 과정과 한 시대의 지배적 문화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여 창의적인 문화 운동의 가능성과 문화 발전을 이뤄내는 소중한 가치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
한류와 아시아(Korean Wave and Asia)
아시아 각국의 한류 현상에 대해 알아보면서 문화의 국제적 소비와 재생산 과정을 이해한다. 국수주의와 문화적 우월주의를 배제하고 아시아의 다양성을 확인하며, 보다 바람직한 한류의 역할과 의미를 파악한다. -
아시아 지역학1(Asia Area Studies 1)
아시아의 문화, 사회, 역사, 언어, 국제관계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아시아의 역사적 과정을 시야에 넣고 오늘날의 문화 현상을 폭넓게 관찰하여 각 문화의 특수성, 보편성, 관계성을 살핀다. 이를 통해 아시아 지역 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본적 지식을 습득한다. -
비교문화론(Comparative Culture)
타문화 이해를 위한 기본적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비교문화론적 관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문학, 역사, 사상, 언어, 예술, 종교 등 국가·지역 간 비교 연구 예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소통 능력을 키운다. -
한·일 대중음악의 역사(History of Korean-Japanese Popular Music)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대중음악의 실제 곡들을 음미해 보고, 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논점들을 통해 한일 대중음악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한국의 트로트와 일본의 엔카가 형성되고 전개된 과정 및 상호영향 관계를 입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세계 대중음악사에서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이 갖는 의의와 위상을 생각해본다. -
문화콘텐츠 기획과 제작 연습(Practice of Cultural Contents Creation)
영상 콘텐츠 창작을 위한 이론, 기술, 방법 등을 학습하고, 실제로 문화컨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연습을 한다. 제작된 결과물을 발표하고 개선점을 함께 논의한다. -
한중일 신화와 문화콘텐츠(Korean, Chinese and Japanese myths & Cultural contents)
한중일 신화를 중심으로 아시아 각국의 신화 및 전설을 비교하고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재 신화 및 전설을 소재로 만들어진 문화컨텐츠(드라마, 영화, 에니메이션, 게임 등)의 다양한 예를 보면서 고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파악한다. -
아시아 지역학2(Asia Area Studies 2)
아시아 각 지역의 사정에 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본 수업을 통해 아시아 각 지역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가치관, 세계관을 이해하고 아시아 전문가로서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지도록 한다. -
구비문학과 스토리텔링(Oral Literature and Story telling)
우리 고유의 민속 그중에서도 구비 전승되는 것들의 문학적 성격을 탐구하여 고전문학의 기저를 이해하도록 한다. -
어문규범과 국어생활(Regulation of Standard Language and Korean life)
한국어의 규범적 특징을 학습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수집한 후 관련된 문제점을 찾아 해결 방법을 모색한다. -
고전과 문화콘텐츠(Korean Classics and Culture Contents)
현대의 독자가 고전과 만나고 고전을 현대적인 예술 양식으로 재창작하는 것은 고전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일이다.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참여를 통해 현대의 문화콘텐츠로서 고전의 가치와 효용을 이해하고 고전을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중국역대명저탐구(Study of Chinese Masterpieces)
중국의 대표적 명저에 대한 소개 및 강독을 통하여 고대 및 근현대의 사회상과 역사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며 현대적 의의를 탐구한다. -
영화로 본 중국현대사회(Study of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through Chinese Movies)
영화를 통하여 중국 현대사와 현대사회의 현상 및 변화를 탐구하는 한편, 주요 영화대사의 중국어 원문을 강독, 해설한다. -
중국의 국가전략과 문화산업(National Strategy and Cultural Industry of China)
중국이 대내외적 국가 전략 속에 작동시키고 있는 문화적 전술을 이해하기 위해, 공자 학원 등의 교육사업 및 각종 대중 문화산업의 내용과 본질에 대한 탐구와 분석을 진행한다. -
일본의 역사(Japanese History)
일본 역사의 전체적 흐름을 개괄하여 시대별 이미지를 갖고 중요 사건의 연대기적 순서를 체계적・인과적・구조적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인류 문화의 일부인 일본 문화의 성과를 파악하고 재평가한다. 궁극적으로 자국 중심의 역사 인식을 극복하고 공생의 미래를 창조할 비전을 갖는다. -
현대일본의 대중문화(Japanese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일반적 지식습득에 그치지 않고, 그 발생 및 역사적 전개과정을 파악하여 현대 일본의 문화를 이해한다. 일본 대분문화의 각 장르 즉, TV(드라마 등), 소설, 영화, 에니메이션, 만화, 음악, 신문 및 잡지 중 몇몇 특적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구체적인 현상에 주목한다. 한편, 일본의 대분문화와 한국의 대중문화는 어떤 관련이 있으며 아시아 혹은 전지구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본다. -
일본문화(콘텐츠 분석연습) (Cultural Studies of Japanese Contents)
고전을 비롯한 고급문화에서부터 근현대 문화 각 분야와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언어/영상(그림 포함)/음향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일본의 역사 및 일본인의 사상, 우주관, 인생관, 종교관, 생활감각 등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은 일본의 문학, 영화, 회화, 만화, 그림, 출판문화, 노래, 놀이문화, 게임, 스포츠 등의 콘텐츠를 실제로 접하고 이와 같은 자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대문화와 접목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생산해내는지 그 메카니즘을 파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하나하나의 장르의 사적 흐름에 대한 설명과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수업 진행이 전개되는 동안 학생들 스스로 한국의 문화와 비교하면서 동아시아문화와 세계문화를 복안적 시야에 두고 인간의 문화를 바라보는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
미디어와 국제사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세계화 시대를 맞아서 국제사회 질서에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 세계의 미디어 역학관계, 미디어의 문화적 속성, 세계의 미디어 시장과 콘텐츠 유통실태 등에 대해 배운다. 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를 키우는 것이 교육 목적이다. -
미디어콘텐츠 유통(Media Contents & Marketing)
콘텐츠산업의 구조와 현황을 이해하고 콘텐츠가 다양한 멀티 플랫폼을 통해서 어떻게 유통되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학습한다. 국내외 영상물 유통 현황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해 관련 취업 분야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미디어산업과 정책(Media Industry and Policy)
미디어산업의 발달과정과 구조, 현황, 정책 현안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미디어산업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관심 있는 진로 분야를 탐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
신재생에너지
개요 및 교육목표
4.0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새로운 지식 분야가 탄생하면서 융합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으며, 사회에서도 이러한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미디어·컴퓨터 융합전공은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 맞춰 컴퓨터 활용 능력과 빅데이터 분석 및 응용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려는 교육목표를 가진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운용 능력을 습득해서 공공기관, 기업, 언론 등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습득하고,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기획하는 능력을 습득해서 빅데이터로부터 부가가치를 만드는 역량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융합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은 공공기관, 기업, 언론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담당 업무에서도 언론, 컴퓨터 관련 분야 이외에 마케팅, 기획 등의 업무도 담당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어 진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교육과정표
구분 신재생에너지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기계공학과 개설과목 전기공학과 개설과목 1-1 1-2 2-1 유체역학(3)
재료역학(3)
열역학(3)전자기학(3)
회로이론(3)2-2 동역학(3) 전자장(3)
회로망해석(3)3-1 수치해석(3)
기계재료학(3)전기기기1(3)
전력전자공학(3)
제어공학1(3)3-2 초대용량 풍력발전시스템 개론 (3) 공기조화 및 냉동(2)
자동제어(3)전기기기2(3)
제어공학2(3)4-1 전기기기특론(3)
풍력터빈의 기계구조적 설계(3)열전달(3)
유체기계(3)4-2 빅인공지능 기반 풍력시스템 설계(3) rlrPrhdgkrtlfgja2(2) 신청대상 전 학과 진입 가능
(2학년 1학기자 ~ 4학년 1학기자)이수학점 신재생에너지 연계전공
개설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필수이수 9학점
- 2개 학과 재학 시 본인학과 전공(중복인정) 18학점
- 연계학과 전공 18학점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신재생에너지 융합전공 학위 취득 문의사항 이경준 주임교수 사무실 : 2공학관 514호 문의처 : 031-750-5876 -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바이오헬스의료기기 (Medical + Biology + Electronics) 융합전공에서는 학생들의 개별적인 분야의 전공역량의 향상과 더불어 각 분야의 전공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계와 실무 중심 수업 진행을 통해 사회와 기업체에 적합한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2단계의 인재육성과정과 1단계의 인재양성과정으로 전공 교율을 진행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 의료-바이오-전자기기 분야별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바이오헬스의료기기 관련 기업의 수요에 맞는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첨단기술을 이끄는 리더 인재를 육성하고 학생-기업 매칭과정을 진행한다. 아울러 현장실습 적응을 위해 의공학과, 전자공학전공, 기계공학전공의 융합전공 Core-Course를 개설하여 산업체의 전문가, 임상전문가 등의 강의를 통해 바이오헬스 의료기기 연구/산업 전문가 배출을 목표로 한다.
구분 바이오헬스의료기기공학 연계전공 개설과목(융합전공)*** 의공학과 개설과목 기계공학과 개설과목 전자공학과 개설과목 1-1 의공학개론(3) 1-2 컴퓨터 프로그래밍(3) 2-1 해부학(3) 열역학(3)
재료역학(3)
유체역학(3)
CAD실습(3)회로이론1(3)
물리전자공학1(3)2-2 생체신호처리(3)
의료기기 디자인 및 기구설계(3)
생리학(3)동역학(3) 회로이론2(3) 3-1 메디컬 로봇공학(3)
바이오의료기기(3)생체재료(3)
생체역학(3)
생체전자기학(3)기계설계(3) 전자공학실험1(3)
전자회로(3)
디지털공학(3)센서공학(3)3-2 웨어러블디바이스(3)
바이오멤스(3)
AI로봇제어(3)
P실무프로젝트(필수)(3)응용전자회로
제어시스템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반도체공학
RF공학P실무프로젝트(필수)(3)자동제어(3)
기계공학실험1(3)
응용기계설계캡스톤디자인(3)
P실무프로젝트(필수)(3)전자공학실험2(3)
제어시스템 설계(3)
응용전자회로(3)
P실무프로젝트(필수)(3)4-1 메디컬 광전소자(3)
현장미러프로젝트(3)의료기기제품개발이해(3) 메카트로닉스및실험(3)
마이크로 나노공학(3)전자공학실험3(3) 4-2 G-팔로미(9)
장기현장실습2(12)의료기기인증개론(3)
분자생물및세포분석(3)로봇공학(3) 광전자공학(3) 신청 대상 전 학과 (1학년 2학기자 ~ 3학년 2학기자) 이수 학점 - 본인 학과 전공 24학점 이하 (중복인정)*
- 융합전공 교과목 18학점 이상*** 이외의 학과의 경우, 본인 학과 전공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모두 융합 전공 지정교과목으로 이수해야함
** 부/복수전공 학과 교과목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목으로 15학점까지 추가 중복인정
***융합전공 개설교과목의 경우, 각 참여 학과 전공에서 코드쉐어링 교과목으로 지정함.상기 바이오헬스의료기기 융합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총 42학점 이수 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바이오메카트로닉스 공학사 학위 취득 문의사항 손영돈 주임교수 AI공학관 225호 031-750-2614 -
스마트카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스마트카 융합전공은 미래형자동차 분야에 필요한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의 실무능력을 두루 갖춘 창조적 융합형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함.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공학의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전공교육을 제공하고자 함. 또한 로봇, 드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향후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엔지니어를 양성하고자 함. 스마트카 분야에서 연구개발 직무의 수요가 매우 큼. 스마트카 융합전공은 자율주행차R&D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선정하였으며 자동차엔지니어 및 전기전자엔지니어로서의 직무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혼합현실기반 실차스케일 안전자율주행 제어기술 융합교육’을 진행하며, 세부내용으로 ‘가상/증강현실 시뮬레이션’과 ‘실차 제어시스템 실습’을 포함하고 있음. 해당 교육은 기계스마트산업공학부(기계공학전공), 미래자동차학과, AI/SW학부, 컴퓨터공학과 등 4개 학과에서 우수한 교수진이 참여하여 전문성을 높임. 융합전공, 융합부전공, 마이크로디그리 등 다양한 이수과정을 개설하여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산업체현장실습과 K-city 자율주행 인프라 활용을 통해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수립함
개요 및 교육목표
구분 스마트카 융합전공 기계공학전공 AI/SW 학부 컴퓨터공학과 1-1 프로그래밍기초(3)
소프트웨어수학(3)1-2 미래형자동차 및 디자인(2)
응용프로그래밍(2)
공학전산응용(3)로봇공학(3) C언어(3)
컴퓨터구조(3)2-1 공업수학1(3)
CAD실습(3)운영체제(3)
객체지향프로그래밍(3)
자료구조 및 실습(3)C++(3)
자료구조(3)
리눅스(3)2-2 공업수학2(3)
동역학(3)
동력시스템공학(3)알고리즘(3)
데이터베이스 및 실습(3)JAVA(3)
데이터베이스(3)
데이터통신(3)3-1 자동차전자제어시스템(3)
차량동역학 및 안전시뮬레이션(3)
확률로보틱스(3)자동차공학 및 실습(3)
기계설계(3)
진동학(3)인공지능개론(3)
AI수학(3)정보보호개론(3)
인공지능개론(3)
알고리즘(3)소프트웨어공학(3)
영상처리(3)3-2 AI자율주행공학(3)
자동차센서공학(3)
자율주행 SLAM 개론(3)
P실무프로젝트(필수)(3)전기전자공학 및 실습(3)
자동제어(3)머신러닝(3)
컴퓨터비전[인공지능전공](3)심화프로그래밍(3)
기계학습 프로그래밍(3)
딥러닝응용(3)겨울학기 현장실습(3/6) 4-1 자율주행 사고분석(2)
종합설계(자율주행)(3)메카트로닉스 및 실험(3)
CAE(3)딥러닝(3)
컴퓨터비전[소프트웨어전공](3)여름학기 4-2 자율주행 PG실습(2)
스마트카세미나(2)신청대상 기계공학전공, AI/SW학부, 컴퓨터공학과
(2학년 2학기자 ~ 4학년 2학기자)이수학점 <융합전공>
⦁ 스마트카 융합전공 인정 교과목 42학점 이수
⦁ 기존 학과 인정 24학점 + 융합전공 18학점(P-실무프로젝트, 종합설계, 현장실습 필수포함)
⦁ 이수 최소 기준 만족 + P-실무프로젝트 + 종합설계 + 현장실습
<부전공>
⦁ 스마트카 융합전공 인정 교과목 20학점 이수(P-실무프로젝트, 종합설계, 현장실습 필수포함)
⦁ 이수 최소 기준 만족 + P-실무프로젝트 + 종합설계 + 현장실습
<마이크로디그리>
⦁ 마이크로디그리 인정 교과목 18학점 이수
⦁ 기존 학과 인정 9학점 + 융합전공 9학점(현장실습 필수포함)
- (자율주행 인지) - 컴퓨터공학과 인정 교과 수강
- (자율주행 판단) - AI/SW학부 인정 교과 수강
- (자율주행 제어) - 기계공학전공 인정 교과 수강이수 최소 기준 ⦁ 기초전공(6학점) 전공기초 (6학점) 전공심화(3학점) 융합전공(3학점)
⦁ 모든 이수과정에서 현장실습 필수
- 융합전공의 경우 현장실습 최대 6학점 인정
- 부전공과 마이크로디그리의 경우 현장실습 최대 3학점 인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융합전공/부전공/마이크로디그리 취득 문의사항 최회명 주임교수 사무실 : 산학협력관 401-C호 문의처 : 031-750-5315 -
이차전지 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이차전지는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중요 부품으로써 세계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 는 현재를 넘어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고부가가치 학문분야이다. 이차전지 융합전공은 물리화학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기화학 및 세분화된 이차전지 관련 실습 등을 통하여 전지 소재 및 시스템에 대한 견고한 지식 함양을 추구하고 이를 통하여 전지의 기본 개념 및 개발 동향에 대한 포괄적 이해력을 지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특히 산업 현장과 교육 훈련간의 격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설계·실습을 수행함으로써, 친환경 기술(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에 필수적인 배터리·시스템 관련 산업 핵심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분야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 연구소 분야 등에 필요한 고급인재 배출을 목표로 한다.
개요 및 교육목표
구분 융합전공 개설과목 화공생명공학과 개설과목 기계공학과 개설과목 1-2 창의 NTree 창의 NTree 2-1 유기화학1
물리화학(기계)열역학
재료역학2-2 화공양론2
분석화학실험응용열역학
응용재료역학3-1 고분자공학(멤브레인 및 분리막)
양극기초 및 설계공학
이차전지실습1(수유계전지)(화공)열역학
유기합성실험수치해석(필수) 3-2 유무기바인더공학
이차전지전해질공학
음극기초 및 설계공학P-실무 프로젝트(필수)
물질전달전기전자공학 및 실습 4-1 배터리시뮬레이션
소재분석기기
이차전지실습2(전고체전지)전기화학공학(필수)
재료공학열전달 4-2 자율주행차의이해
에너지기기응용기술
이차전지종합설계
그린카에너지공학고분자공학 에너지공학(필수) 신청 대상 화공생명공학과, 기계공학과
(3학년 1학기자*)
*2022학년도에 한하여 3학년 2학기자 신청이수 학점 이차전지 융합전공 교육과정 지정 교과목 중 42학점 이수 - 필수이수 12학점
- 본인학과 전공 12학점
- 연계학과 전공 18학점
- (기계)열역학과 (화공)열역학은 수강 시 택일하여 수강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이차전지공학사 학위 취득 문의사항 화공생명공학과 사무실
기계공학전공 사무실IT 융합대학, 6-2호(화공), 공과대학2, 107호(기계) 031-750-5364(화공)
031-750-5532(기계) -
창업융합전공
개요 및 교육목표
창업융합전공은 창조와 혁신이 일상이 되는 창업문화 정착과 학생 성공을 지원하는 대학문화 조성을 위해 체계적인 학생 창업 교육을 지원하고 학생 창업가를 양성하려는 교육목표를 가진다. 창업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기업-학교의 상생 생태계 안에서 창업학/인지과학/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전문기술교육 등을 습득하도록 하며, 융합전공 이수를 통해 학생들이 창업 역량을 갖추고 성공 창업을 이루는 기반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
개요 및 교육목표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이론 실습 2,3,4 매 학기
(1,2)전공필수 스타트업 창업프로젝트 3 1 2 전공필수 기업가정신 3 3 0 전공필수 인간본성의 과학적 이해 3 2 1 전공필수 UX와 서비스 기획 3 1 2 전공필수 블록체인의 기초(8주) 3 2 4 전공필수 블록체인의 응용(8주) 3 2 4 소계 18 11 13 매 학기
(1,2)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Ⅰ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Ⅱ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Ⅲ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Ⅳ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Ⅴ 6 0 6 전공선택 창업-P(창업활동프로젝트)Ⅵ 6 0 6 소계 36 0 36 이수학점 전공 전공필수 18 11 13 전공선택 36 0 36 신청 대상 1000스쿨(창업학기제) 이수자
(2학년 2학기자 ~ 4학년 2학기자)이수 학점 <창업부전공>
창업융합전공 전공필수 교과목 18학점 이수
<창업융합전공>
주전공 48학점+창업융합전공 전공 42학점 이수(전공필수 18학점 필수 포함)
- 주전공(중복인정) 15학점
⇒ 창업융합전공 27학점(전공필수 18학점, 전공선택 2과목) + 주전공 15학점
<창업융합 단독전공>
창업융합전공 42학점 이수(전공필수 18학점 필수 포함)자격취득 절차 신청서 제출 → 학점이수 → 자격신청서 제출 → 학위 취득 문의사항 손상준 교수 가천관 1102호 031-750-5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