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74 게시물 검색 검색하기 제목 작성자 RSS 2.0 206건, 현재페이지: 1/11 게시글 리스트 가천뇌과학연구원, 3월13일 시민대상 뇌관련 행사 개최 가천뇌과학연구원(원장 김상은)은 세계적인 뇌과학축제인 '2025 세계 뇌 주간' 기간을 맞아 3월 13일(목) 가천대 길병원 본관2층 가천아카데미실에서 시민대상 뇌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세계 뇌주간 행사는 일반인에게 뇌과학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3월 셋째주를 '세계 뇌주간'으로 지정, 세계 여러 학술단체, 학교,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개최되는 글로벌 행사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도 첫 행사 개최를 시작으로 24주년을 맞이하며, 한국뇌신경과학회에서 한국뇌연구원과 공동으로 진행한다.가천뇌과학연구원에서 1시30분부터 진행되는 강연주제는 '뇌과학으로 이해하는 뇌질환'으로▲뇌종양의 최신치료(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이기택교수) ▲치매와 뇌건강(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교수) ▲시간은 뇌다!-뇌졸중(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이영배교수) ▲ 초정밀 뇌영상, 어디까지 왔나 (가천뇌과학연구원 정준영교수)로, 최신 뇌연구 트랜드를 청강할수 있다. 모든 행사는 행사 당일 별도의 등록없이 참가 가능하며, 강연 참석자에 한해 행사장 앞 안내데스크에서 세계 뇌주간 프로그램 참가확인증을 신청할 수 있다. 참가확인증은 행사 이후 각 주관단체로 문의하면 발급이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뇌신경과학회 홈페이지(https://www.ksbns.org/)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No. 206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190 등록일 2025.03.10 공지기간 ~ 0 간호학과 최정실교수, 간호협회 간호교육분야 '올해의 간호인 상' 수상 ▲최정실 교수가천대 간호대학 최정실 교수는 2025년 2월 2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열린 대한간호협회 제95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간호교육선진화 및 전문성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간호교육분야 올해의 간호인상 을 수상했다. 최정실 교수는 1996년 우리나라 감염관리의 태동기부터 약 30년에 걸쳐 감염관리전문가로서 의료기관, 학회, 간호대학 및 지역사회에서 선도적인 교육자 역할을 수행해 왔다. 국가적 차원의 감염관리 체계 구축뿐만 아니라 의료인, 간호사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예방 교육을 통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실천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가천대학교과 건양대학교에서 감염관리전문간호교육과정을 개설하였으며, 2022년부터 감염관리전문간호사 교육기관협의회장 으로서 전국 11개 감염관리전문간호교육기관의 교육과정 표준화를 통해 전문간호사 시험제도 관리와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실현하며, 감염관리 간호교육의 체계적 발전을 이끌어내었다. 특히 2024년에는 전국 의료기관 대상 투약 및 의원급 감염관리 교육지침 과 의원대상 감염관리 실천 안내서 를 개발하여 보급하였으며, 간호사 대상 최신 실무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간호교육의 전문성과 저변확대를 도모하였다. 또한 코로나 범유행 시기부터 의료인을 위한 전문교육 뿐 아니라 일반인 대상 인천시민대학에서 생활속 감염, 효과적인 예방법 과 감염예방! 건강한 생활습관을 위한 첫걸음 이라는 10개 강좌를 각각 개설하여 신종전염병 관리 및 감염전파예방을 위한 교육을 통하여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및 행복 추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평생교육을 제공하였다.이러한 헌신적인 노력은 감염관리 교육 및 실무 발전에 있어 대한민국 간호계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운 바 있으며, 국가 보건의료 분야의 혁신과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 데 크게 기여하였다. No. 205 작성자 메디컬홍보팀 조회수 465 등록일 2025.02.28 공지기간 ~ 0 약학대학 약리학교실 최지웅 교수 연구팀, 뇌졸중 병인에 대한 새로운 기전 제시 약학대학 최지웅 교수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약리학교실 최지웅 교수 연구팀은 sphingosine 1-phosphate (S1P) 수용체 중 하나인 S1P4 가 난치성 질환인 허혈성뇌졸중에서 뇌 손상을 유발하는 새로운 병인임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S1P수용체(S1P1-5)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여러 질환에서 핵심병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다발성경화증의 획기적인 치료제로 개발된 S1P수용체 비선택적 조절제인 FTY720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S1P1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른 S1P수용체, 특히 S1P4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는데 이는 이 수용체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tool 부재에 기인했다. 연구팀은 최근 새로운 S1P4-선택적길항제(NXC736; NEXTGEN BIOSCIENCE사로 기술이전, 현재 임상1상 완료)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MASH, 이전에 NASH로 알려진 간 질환) 에서 S1P4의 병리적 역할을 규명한 바 있다. (2022년 Cellular and Molecular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논문 게재) 이번 연구에서는 NXC736 합성 및 S1P4 선택적 활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특히, S1P4가 허혈성뇌졸중의 새로운 병인 기전으로 작용함을 확인하고, NXC736을 활용한 S1P4 억제가 뇌졸중 손상을 완화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허혈성뇌졸중은 뇌혈류 차단으로 인해 신경 손상과 사망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전체 뇌졸중의 87%를 차지한다. 연구팀은 허혈성뇌졸중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S1P4가 신경세포 사멸 (apoptosis), 뇌혈관장벽 손상 및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와 같은 신경염증반응을 조절하며, 특히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에서의 NLRP3 inflammasome 및 관련 신호기전의 활성화를 매개하여 뇌손상을 유도함을 규명했다. 뇌졸중 손상 요인으로 S1P4의 역할을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NXC736이 허혈성뇌졸중의 급성기 및 만성기 뇌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것을 밝혀 치료기술로서의 유용성도 규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F=11.4)에 'Blocking S1P4 signaling attenuates brain injury in mice with ischemic stroke'라는 제목으로 2월 게재가 확정됐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공학개인기초 중견연구지원사업 및 가천대학교 연구기금 (2020년)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최지웅 (가천대학교) | 한빛사논문 한빛사 | BRIC No. 204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203 등록일 2025.02.27 공지기간 ~ 0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범병지 학생, SCIE급(Q1 등급) 국제학술지(Polymers) 논문 게재 학부생이 Q1 등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 게재해 주목 신소재공학과 범병지 학생, 정승찬 박사과정생, 장원준 박사과정생(사진 좌측부터)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4학년 범병지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이 SCIE급(Q1 등급) 국제학술지 Polymers에 지난달 1일 게재됐다. 학부생이 Q1 등급의 국제 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한 사례는 이례적인 것으로,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는 신소재공학과 정승찬, 장원준 박사과정생(공동 제1저자), 원종건, 정지훈, 최유정 석사과정생, 문만기 학부연구생이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으며, 신소재공학과 한재희 교수가 지도했다. Polymers 저널은 2023년 Journal Citation Reports(JCR) 기준 고분자 과학(Polymer Science) 분야에서 상위 약 20%(Q1 등급)에 해당하는 국제 학술지로,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의 금속성과 반도체성을 정밀하게 분리하고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미세채널 플랫폼 기술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기반 마이크로플루이딕 겔 크로마토그래피(Microfluidic Gel Chromatography)와 실시간 라만 분광법(In situ Raman Spectroscopy)을 결합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SWNT의 분리 및 용출 과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동역학적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연구는 마이크로스케일 정밀도와 산업적 확장 가능성을 높였으며, 나노소재의 전자적 특성에 따른 분리 공정에서 실시간 동역학적 분석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특히, PDMS 기반 마이크로플루이딕 시스템을 활용한 이번 기술은 나노소재 분리 분야에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며, 관련 특허가 출원된 상태다. 범병지, 문만기 학생은 올 1학기부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신소재공학과 한재희 교수 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며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No. 203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44 등록일 2025.02.13 공지기간 ~ 0 가천대 한의학과 이동헌 교수팀, 류마티스 관절염에 한약병용치료시 효과 개선 대규모 메타분석 연구로 한약 병용 요법의 효과와 안전성 검증 한의학과 이동헌 교수, 조희근 교수(사진 좌측부터)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한약을 함께 사용했을 때 기존 치료제만 사용했을 때보다 통증, 염증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 반응률이 개선되고 부작용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연구결과는 한의학과 이동헌, 조희근 교수 연구팀이 한약과 기존 약물치료 병용 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한 대규모 메타분석에서 확인됐다. 이 논문은 약리학 및 약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Pharmacological Research(IF: 9.1, 상위 3.5%) 1월호에 게재됐다.연구팀은 415편의 임상시험 데이터를 분석해 37,839명의 환자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는 류마티스 관절염(RA) 치료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평가된다.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 질환으로, 전신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기존 치료제는 증상완화 효과가 있지만 일부 환자들은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연구에서는 ACR 20/50/70(증상 개선율), VAS(통증 척도), DAS28(질병 활성도), 류마티스 인자(RF) 등의 임상 지표를 활용해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한약을 함께 사용했을 때 기존 치료제만 사용했을 때보다 통증, 염증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 반응률이 개선되고 부작용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연구팀은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천연물을 탐색하고, 주요 약재와 조합 패턴을 도출했다. 이동헌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약과 기존 치료제의 병용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난치성 질환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No. 202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88 등록일 2025.02.12 공지기간 ~ 0 의예과 홍정희교수 연구팀, 류마티스 관절염의 골파괴 작용에 대한 새로운 기전 제시 동물 모델로 나트륨-중탄산염 공동수송체(NBCn1) 억제시, 골파괴 및 관절염증상 현저감소 실험적 입증 의예과 홍정희 교수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기초의학 생리학교실 홍정희 교수 연구팀이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의 악화 기전에 작용하는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밝혀내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타겟으로 나트륨-중탄산염 공동수송체(NBCn1)를 제안했다. 논문 제목은 Rheumatoid arthritis severity is mediated by crosstalk between synoviocytes and mature osteoclasts through a calcium and cytokine feedback loop 로 의약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Experimental Molecular Medicine (IF 9.5)에 2월 게재됐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대표적인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염증성 인자와 유리 칼슘이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관절 손상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관절 활막 내에서 증가한 염증성 인자가 흡수세포(파골세포, osteoclast)의 성장 인자(M-CSF)를 생성하고, 성숙한 파골세포가 골을 파괴하면서 활막액 내 칼슘 농도를 높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증가한 칼슘과 염증성 인자가 다시 활막섬유세포의 이동성과 염증 반응을 촉진하는 악순환을 형성하며, 이러한 피드백 루프를 차단하기 위해 NBCn1 억제가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콜라겐-유도 관절염 동물 모델을 통해 NBCn1 억제 시 골파괴 및 관절염 증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홍정희 교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서 기존의 면역억제제 중심 접근을 넘어, 이온수송체를 표적으로 삼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고 밝혔다. 이 연구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관점에서 염증 및 골흡수 억제를 새로운 단백질 타겟의 조절을 제시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았다. 이번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공학개인기초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한국 생물학 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 에도 선정됐다. . No. 201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282 등록일 2025.02.11 공지기간 ~ 0 신소재공학과 윤영수 교수, 이차전지 및 혁신형 원자로 재료 포함 에너지 재료 분야 논문 피인용 횟수 10,000회 달성 에너지재료연구실 윤영수 교수(사진 앞줄 좌측에서 세번째)와 연구실 대학원생들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재료연구실 윤영수 교수가 이차 전지 및 혁신형 원자로 재료를 포함한 에너지 재료 분야에서 논문 피인용 횟수 10,000회를 달성했다. 윤영수 교수 논문 연도별 인용 횟수 윤교수의 논문 피인용 횟수는 1997년 첫 인용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771회, 2021년 882회, 2022년 940회, 2023년 959회, 2024년 1,132회를 기록했다. 특히, 에너지재료연구실 대학원생들이 주도한 SCI 논문의 피인용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이번 성과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다 인용 논문으로는 2017년에 발표한 Room temperature gas sensing of two-dimensional titanium carbide (MXene)(2차원 탄화티타늄(MXene)의 상온 가스 감지) 으로 현재까지 723회 인용됐다. 윤교수는 "이번 성과는 연구실 구성원 모두의 노력과 협력의 결과이며, 특히 대학원생들의 헌신적인 연구가 큰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도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지속하고, 실용화 및 기술 이전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연구를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윤영수 교수 연구실은 최근 다층구조 핵연료 피복관 제조방법, 마이크로 어레이 기판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어레이 기판 제조장치 등 총 4건의 SMART A등급 특허를 획득하며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No. 200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483 등록일 2025.02.03 공지기간 ~ 0 유아교육학과 김혜정 교수 연구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유아교육학과 김혜정 교수, 김민주, 하정민, 공이준 학생(사진 우측부터)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김혜정 교수와 4학년 공이준, 김민주, 하정민 학생이 지난 16일 한국교원대학교 영유아교육연수원에서 열린 2024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 학술대회 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유아 및 영유아 대상 미디어 교육 연구를 선도하는 학술단체로, 이번 추계 학술대회는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미디어와 영유아를 위한 미래교육: 포스트휴먼 시대 유아 디지털 교육의 방향 을 주제로 열렸다.연구팀은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언플러그드 기반 통합놀이 교구개발 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인공지능(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기능과 언플러그드 보드 게임 원리를 결합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놀이 교구 및 놀이 촉진 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혜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유아의 디지털 놀이 경험을 확장하고 AI 디지털 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No. 199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248 등록일 2025.02.03 공지기간 ~ 0 대학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나성민 원생 DIGST연구팀과 전기차 주행거리 1000km 시대 열 새로운 양극 소재 개발 고용량 고안정성 배터리 개발의 전환점, 전기자동차 주행거리1,000Km달성기여 (좌)나성민 대학원생 (우)박광진 지도교수 가천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나성민 원생(박광진 교수 연구팀 : ECSS Lab)과 DIGST 박경수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가 지난 9일 관련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CS Nano (Impact Factor 15.8) 에 게재됐다. 논문제목은 과잉 니켈 양극재의 구조 안정성 향상을 위한 포메이션 사이클 제어 (Formation Cycle Control for Enhanced Structural Stability of Ni-Rich LiNixCoyMn1-x-yO2Cathodes) 다. 이 연구는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양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과잉 니켈 산화물(Ni-rich NCM)의 성능 저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해결책을 제시했다. 양극 소재는 리튬이온 전지의 용량, 수명, 충전 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배터리 제조 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가의 물질이다. 과잉 니켈 산화물(Ni-rich NCM)은 기존의 리튬코발트 산화물(LCO)보다 50% 이상 높은 용량을 제공하고,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아 현대자동차 와 테슬라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차세대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양극 물질로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내구성 문제로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입자 균열과 급격한 용량 감소, 가스 배출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성능 저하 및 가스 발생의 원인을 고도 분석 기법을 통해 규명하고, 기존의 도핑 및 표면 처리 방식과 달리 초기 활성화 단계에서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추가 공정 없이 양극 소재의 구조 붕괴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고용량 고안전성 배터리 개발의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1000km 달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No. 198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616 등록일 2025.01.14 공지기간 ~ 0 김원호 교수 연구팀, 부솔EPT㈜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 축방향 자속 모터 제작기술 고도화 기대 '축방향 자속 모터 제작기술 고도화 기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윤재 단장(중앙), 부솔EPT㈜ 상무 조재만(우), 전기공학과 김원호 교수(좌)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송윤재)은 최근 모터 전문 제조 기업인 부솔EPT㈜(대표 유지영)와 전기공학과 김원호 교수팀이 개발한 축방향 자속 모터 관련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기술 이전료는 1억원 규모다. 최근 전기자동차, UAM, 로봇 및 최첨단 공조 시스템 등에 대한 성능 고도화가 요구되어 기존 방사 방향 자속 모터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김원호 교수팀은 박형 구조에서 출력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축방향 자속 모터 (SRSS, DRSS, SRDS 구조 및 PCB 축방향 자속 모터)를 연구했으며 관련 설계 및 시뮬레이션 Know-how를 부솔EPT㈜에 이전함으로써 기술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쉽을 구축하게 됐다. 부솔EPT㈜는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모터를 개발해 온 전문 기업으로, 이번 기술이전으로 보유 축방향 자속 모터 제작 기술을 더욱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고성능 경량 모터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은 한국연구재단의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BRIDGE 3.0) 사업을 통해 이전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할 계획이며, 이번 기술이전 협약을 계기로 산학 협력을 통한 대학 연구 성과의 사회적 기여를 확대할 방침이다. No. 197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643 등록일 2025.01.07 공지기간 ~ 0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수형 박사과정생, 초고용량 리튬 이차전지 혁신 기술 발표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김수형 원생 가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김수형 원생(지도교수: 윤영수, 에너지재료연구실, EML)이 화학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mpact Factor 15.1, Ranking 3.5%) 에 초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용 혁신 음극 신소재 기술을 발표했다.Full-cell 기반으로 측정된 신 음극 소재의 용량 및 싸이클 특성이번 연구는 Mn(망간)과 Fe(철) 기반 소재를 활용하여 기존 리튬 및 실리콘 음극 소재와 차별화된 기술을 제시했다. 특히, 신소재의 뛰어난 안정성과 초고용량 특성을 바탕으로 Full-cell 기반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실용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했다. 이 과정에서 Full-cell 구성으로 400 mAh/g에 달하는 용량을 구현했으며, 이를 통해 비리튬 및 비실리콘 기반의 혁신형 이차전지 개발에서 핵심 신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윤영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음극 소재의 안정성 한계를 극복하고, 고용량 및 고안정 특성을 갖춘 혁신형 이차전지 개발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 이라며 이번 성과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ES)의 실용적 구현을 위한 원천기술로 향후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No. 196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603 등록일 2025.01.03 공지기간 ~ 0 한의학과 김창업 교수 공동연구팀, 네트워크 약리학 연구방법론의 객관적 평가 및 개선 분석 모델 제시 복합 한약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새로운 분석 기준 확립 한의학과 김창업 교수 가천대 한의학과 김창업 교수 연구팀이 지난달 24일 동국대, 원광대 연구팀과 함께 네트워크 약리학(Network Pharmacology)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한 분석 모델을 제시했다.연구 제목은 Evaluating current status of network pharmacology for herbal medicine focusing on identifying mechanisms and therapeutic effects(한약의 작용 기전과 치료 효과 규명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약리학의 현재 상태 평가) 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네트워크 약리학 연구방법의 체계적 비교평가를 최초로 시도한 사례다. 네트워크 약리학은 컴퓨터 기반 분석을 통해 약물의 시스템 수준 치료 효과와 기전을 예측하는 혁신적인 연구 방법으로, COVID-19 치료제나 암 치료제 개발 등의 분야에서 가치를 입증받았다. 특히 복합 성분이 다중 표적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한약은 네트워크 약리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방법을 활용한 개별 연구들이 쏟아져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간의 체계적 비교와 평가가 부족한 상황이다.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5개의 주요 네트워크 약리학 데이터베이스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약 성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간 일관성이 높은 반면, 표적 단백질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기존의 단순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보다 생물학적 기능 관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다중스케일 상호작용체(Multiscale Interactome) 방식이 더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교신저자인 김창업 교수는 "그동안 네트워크 약리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분석 방법론이 제안되었지만, 이들 간의 객관적인 비교평가가 전무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각 방법론의 특성과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더 신뢰할 수 있는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강조했다.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해당 논문은 의약학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Journal of Advanced Research(IF 11.4) 에 게재됐다. No. 195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230 등록일 2025.01.02 공지기간 ~ 0 바이오나노학과 이영철 교수 연구팀, AI·재료과학 분야 IF 30 이상 논문 연이어 게재 인공지능 기반 광촉매 배터리 소재 성능 향상 가능성 제시 바이오나노학과 이영철 교수, 나노과학기술융합학과 쿠사만 마시야라간 조교수, 바이오나노학과 오거스틴 자이슨 박사과정생(사진 좌측부터)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 이영철 교수 연구팀의 박사과정 오거스틴 자이슨 원생(Augustine Jaison, 인도)과 나노과학기술융합학과 쿠사만 마시야라간 조교수(Kouthaman Mathiyalagan, 인도)가 재료과학 관련 세계적인 학술지에 논문인용지수(IF) 30 이상의 논문을 연이어 게재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 접목 광촉매 활성 증대 연구로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R-Reports (IF: 31.6)에 지난달 14일, 소듐 이온 배터리의 인산철나트륨(NaFePO4) 양극재 연구로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IF: 33.6)에 지난 27일 논문을 게재했다.머신러닝 기반 향상 광촉매 반응 적용 모식도연구팀은 광촉매 반응에 인공지능, 특히 머신러닝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광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을 입증했다. 머신러닝을 활용해 성능이 뛰어난 광촉매를 탐색하고, 활성화 구조와 상관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해 광촉매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연구팀은 머신러닝의 다양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그래디언트 부스팅(Gradient-boosting) 모델을 탐구하며, 환경문제 해결에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과학적 지침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약물 분해, 물분해, 유기염료 제거와 같은 광촉매 응용 분야에서 머신러닝의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법을 연구했다.소듐 이온 배터리에 있어서의 NaFePO4 양극재 모식도또한, 연구팀은 인산철나트륨(NaFePO4) 양극재에 대한 합성 방법, 결정구조, 전기화학적 성질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인산철나트륨(NaFePO4)는 고온에서 비가역적으로 구조가 변형되는 특성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표면 개질, 이온 도핑, 나노 구조화 등의 기술을 적용해 용량과 성능을 개선해왔다.연구는 인공지능의 접목을 통해 고성능 NaFePO4 유도체 설계와 혁신적인 소재 디자인 가능성을 제시하며, 소듐 이온 배터리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할 수 있음을 밝혔다. 향후 친환경 물질인 프러시안계 물질(Prussian blue analogues, PBA)를 기반으로 한 소듐 이온 배터리 양극 소재 연구도 인공지능을 접목해 진전시킬 예정이다.이영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을 접목한 광촉매와 소듐 이온 배터리 양극 소재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며 광촉매 페인트와 소듐 이온 배터리 양극재 등 다양한 소재의 상용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이 연구는 IoT용스마트소재연구지원센터(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분석지원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논문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27796X24001104□ 논문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79642524001944?via%3Dihub□ 문의: 가천대 이영철 교수 [스마트 항산화 나노입자 및 시스템 연구실](031-750-8751) No. 194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472 등록일 2024.12.31 공지기간 ~ 0 반도체·전자공학부 이주열 교수, 고효율 PV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개발 반도체 전자공학부 이주열 교수 가천대학교 반도체 전자공학부 이주열 교수 연구팀이 최근 서울대학교 김수환 교수 연구팀 및 관악아날로그(주)와 공동으로 PV(Photovoltaic, 광발전) 에너지 하베스팅 집적회로 시스템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제목은 A 5.5W-to-276W Integrated Photovoltaic Energy Harvesting System with 99.95% MPPT Efficiency and 98.74% Power Conversion Efficiency(99.95% MPPT 효율과 98.74% 전력 변환 효율을 갖춘 5.5W-276W 통합 태양광 에너지 수확 시스템) 로, 지난달 28일 전력전자 집적회로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IF 6.6) 에 게재됐다. PV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및 구현된 칩 사진 최근 전력 변환 분야에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고전력, 고전압, 고전류 환경에서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솔루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DCR Current Sensing 기반 정밀 전류 측정 기술을 통해 전력 추적 및 변환 효율을 99.95%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시스템 대비 매우 우수한 추적 효율을 보이며, 동시에 98.74%의 전력 변환 효율을 구현했다. 이주열 교수는 이번 연구 기술이 대면적 PV 어레이와 전기자동차 충전 효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라며 차세대 에너지 자립형 전자기기와 IoT 센서 노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 논문링크: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0771609 □ 이주열 교수 연구실 홈페이지: https://sites.google.com/view/axisdl No. 193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704 등록일 2024.12.26 공지기간 ~ 0 의공학교실 류승엽 대학원생, 방석진 연구원, 대한의료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 구연 장려상 '아탈구, 오십견 환자 어깨통증 완화에 도움' 김광기 지도교수(중앙)와 류승엽, 방석진 원생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바이오헬스의공학과 류승엽 대학원생, 의공학교실 방석진 연구원(지도교수 김광기)이 지난달 1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본원 KI빌딩에서 열린 2024 대한의료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에서 우수 구연 장려상을 수상했다. 논문제목은 6자유도 재활로봇의 기구학적 해석 및 어깨 재활로봇에 적합한 게임개발 로 현재 의공학교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어깨 재활로봇을 기반으로 한 기구학적 해석과 적합한 게임 개발에 대한 프로세스를 제안했다.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로 인한 어깨 아탈구 환자와 오십견 환자의 어깨 통증 감소를 위해 개발된 재활로봇의 기구학적 해석을 통해 실재 어깨와 유사한 움직임을 구현하고 게임을 이용해 보다 나은 재활치료 환경을 제공, 환자의 어깨통증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No. 192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15 등록일 2024.12.18 공지기간 ~ 0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킹 학술세미나 개최 스마트팩토리학전공 연구성과 발표, 스마트제조산업 최신연구 및 기술 공유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이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22일 가천대 AI공학관에서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킹 학술세미나 를 개최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가천대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과 함께 지난달 22일 가천대 인공지능(AI) 공학관에서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킹 학술세미나 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가천대 김종성 공과대학장, 스마트팩토리전공 교수, 학생 등 80여명과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 안광현,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및 관련 기업 관계자, 산업계 전문가 등 총 150여명이 참석했다.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이정수 교수가 학술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행사는 안광현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환영사(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이정수 교수)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연구 주제발표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 기술트렌드 강연 △질의응답 △폐회사(가천대 김종성 공과대학장) 순으로 진행됐다.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윤아영, 이유진, 유지민 학생(사진 좌측부터)이 학술세미나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행사에서 가천대 스마트팩토리전공 교수와 학부 연구생들은 그동안 주도적으로 수행한 연구 성과들을 선보였다. 스마트팩토리전공 2학년 윤아영 학생(여)은 제조현장에서 가스센서의 메커니즘 및 성능향상을 위한 표면 개조 및 최적화를 위한 DFT와 PINN 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이어 3학년 이유진 학생(여)이 다변량 센서데이터를 활용한 불량 탐지 모델을 위한 Ridge 기반 주요 변수추출 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2학년 유지민 학생(여)이 배터리 음극 표면의 덴드라이트 성장 예측을 위한 물리 기반 인공신경망 기술 연구 에 대해 발표했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각 기업에서 보유한 기술과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스마트제조산업 주요 제품 서비스 4대 분류(△자동화기기 △연결화기기 △정보화솔루션 △지능화서비스)를 대표할 수 있는 최신 기술들을 소개했다. 행사에서는 취업 상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술 공급기업과 우수 인재 간의 연결을 주선해 스마트제조 분야의 산 학 협력 네트워킹도 진행했다. No. 191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35 등록일 2024.12.11 공지기간 ~ 0 기계공학과 나히드 하산(Nahid Hasan) 원생, 한국유체기계학회 하계학술대회 우수발표상 수상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나히드 하산(Nahid Hasan) 원생 기계공학과 정재호 교수 연구팀의 석사과정 나히드 하산(Nahid Hasan 방글라데시) 원생은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에서 열린 2024 한국유체기계학회 동계학술대회 에서 우수발표상을 받았다. 발표한 연구 주제는 Numerical Simulation on Membrane Emulsification Study the Effect of Process Prameters on Droplets Size(막 유화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 공정 매개변수가 액적 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다. 나히드 하산 원생은 CFD(전산유체역학)를 활용해 막 유화(Membrane Emulsification)의 고유 특성을 검증했으며, 모세관수(Capillary Number)와 웨버수(Weber Number) 같은 유체역학에 있어 중요한 변수들의 영향을 분석한 내용을 공유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삼성, LG, 두산 등 관련 기업 및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여러 기업의 홍보 및 장비 전시 부스도 함께 운영되었다. 나히드 하산은 "이번 막 유화 기술 연구를 활용해 약물 전달이나 식품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업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이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No. 190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55 등록일 2024.12.10 공지기간 ~ 0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학년도 학술제 개최 '유아 영양 음악 체육교육 전공 대학원생 연구공유의 장' 2024 교육대학원 추계학술대회를 마친 대학원생들이 지도교수와 함께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원장 김경환)이 지난 3일 교육대학원 108호에서 교육대학원 학술제를 열었다. 학술제에는 교육대학원 원생 및 교수자 30여명 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학술제에서는 유아교육 전공 김미희(4차) 원생이 '학습 민첩성과 AI리터러시의 관계 : 놀이교수 효능감 매개효과 , 문경원(4차)원생이 '영유아교사의 실패공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주제로 발표했다. 영양교육 전공에서는 김승하(4차)원생이 '한국 여중생의 체중조절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 전공에서는 김보라(5차)원생이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 음악수업 지도안: 랩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체육교육 전공에서는 이주영(5차)원생이 '출판 부트캠프를 통한 유소년 체육지도자의 책 펴내기 경험 심층이해'를 발표했다. 계승희 교수는(영양교육/주임교수)는 "이번 학술제를 통해 학문적 소양과 연구역량이 증진되었길 바란다"며, "앞으로 꾸준한 연구 공유를 통해 대학원생들의 융합사고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No. 189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59 등록일 2024.12.05 공지기간 ~ 0 의공학과 박준하 대학원생(지도교수 김광기),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 연제상 '외상환자 골절 신속진단, 전략적 치료계획 수립' (좌) 박준하 대학원생, (우)김광기 교수 가천대 바이오헬스의공학과 박준하 대학원생(지도교수 김광기)이 지난달 5일 여수 디오션 호텔에서 열린 2024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에서 우수연제상을 받았다. 논문제목은 흉부 X선 촬영 영상에서 타일링 기반 갈비뼈 골절 판별 프로세스 연구 로, 박준하 대학원생은 이 논문에서 흉부 X선 촬영 영상 시, 식별이 어려운 갈비뼈 골절을 영상 패치화와 분류 알고리즘을 활용해 찾아내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초기 외상 환자의 갈비뼈 골절을 진단하고 심각도를 분석하는 데 활용돼 신속한 의사결정 및 전략적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No. 188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254 등록일 2024.12.05 공지기간 ~ 0 의공학과 전용민 교수, 대한광의학회 우수연제상 수상 차세대 OLED 이용한 바이오메디컬 응용관련 연구 전용민 교수 가천대학교 의공학과 전용민 교수가 지난달 23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제 33차 대한광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에서 우수연제상을 받았다. 논문제목은 'Next-Generation OLEDs based Attachable Wearable Photomedicine Healthcare' (차세대 OLED기반 부착 및 웨어러블 포토메디신 헬스케어)로 차세대 OLED를 이용한 바이오메디컬 응용에 관련된 발표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대한광의학회는 대한피부과학회 분과 중 가장 역사가 깊은 학회로 광발암, 광치료, 광반응, 광검사, 광노화, 광피부질환, 광진단, 광역동요법, 광생물학에 관련된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학술단체다. 전용민 교수 연구실(Wearable Electronics Biomeidcal Converngence Lab)은 차세대 유기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바이오메디컬 응용 연구와 관련된 연구 성과들을 활발히 발표 하고 있다. □ 전용민 교수 연구실(Wearable Electronics Biomeidcal Converngence Lab ): https://sites.google.com/view/webclab/home No. 187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343 등록일 2024.12.03 공지기간 ~ 0 처음 111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