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융합교육 전공
이제는 모두에게 인공지능 리터러시가 요구되는 사회가 되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에듀테크를 비롯한 AI 및 AI활용 융합수업이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본 교육과정은
초중고 교사뿐 아니라 유치원 교사, 다양한 교육기관 및 기업에서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자, 연구원, 관련 교육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전문가 및 예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에듀테크 및 인공지능 융합교육 분야의 교육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인공지능 교육 △컴퓨팅사고력 및 인공지능 융합교육 △데이터 과학의 교육적 활용 △AI융합 수업설계 및 교재 개발, 프로젝트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과목을 선택 수강할 수 있습니다.
-
- 1. 소프트웨어나 인공지능에 대한 선수지식이 없어도 시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
- 컴퓨터 언어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분도 본 교육과정을 통해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도구와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AI교육, AI융합 수업을 설계 및 개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부 전공에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으며, 기초부터 심화 수준까지 교과목을 제공합니다.
-
- 2. 유연한 교육과정과 편의성을 고려한 수강환경을 제공합니다.
-
- 교직과정을 수강할 필요 없으며, 주당 하루 출석 수업(매주 화요일 저녁)
- 과목당 3학점으로 학기 당 두 과목 수강(졸업학점 30학점)
- 졸업요건으로 논문과정과 비논문과정을 자유롭게 선택 (졸업학점 30학점 동일)
: 논문과정은 논문학점 6학점을 포함하여 30학점 졸업(교과목 수강 24학점+논문학점 6학점)
: 비논문과정은 프로젝트·현장연구 교과목 중 1과목 수강/인증으로 졸업(10개 교과목 수강, 30학점)
현직 교사에 최적화된 교육과정 구분 관련 교과목 예 공통과목
(3과목 선택)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교육용 프로그램 실제, 융합교육의 이해, AI융합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에듀테크 이론과 실제 전공 선택과목 컴퓨팅사고력기반교육과 지도법, 교육용 프로그램이 언어를 통한 AI 교육, 인공지능과 메이커 교육, 교육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교사를 위한 머신러닝 등 프로젝트 및 연구 AI활용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개발 프로젝트, 현장 데이터 기반 AI활용 프로젝트, 캡스톤디자인 수업설계, 현장연구, 논문 세미나 등 교육과정의 일부로 추후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자세한 교육과정은 홈페이지 참조
-
- 3. 인공지능 융합교육 및 에듀테크 전문가가 교수진으로 참여하여 교육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및 수업을 진행합니다.
-
- AI융합교육 과정은 개발자가 아닌 교육분야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입니다. 교육현장 이해도가 높은 교수진들로서 에듀테크 적용과 연구,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발과 연구, AI융합교육 교사 연수 등에 경력이 많은 교수진이 수업과 연구를 지도합니다. 수업에서 교육현장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배운 것을 즉시 현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 수업을 합니다. 또한 본교의 인공지능학과의 교수진이 협력하고 있습니다.
-
- 4. 가천대학교 AI융합교육 전공홈페이지: https://www.gachon.ac.kr/gusc/3359/subview.do
-
- 2022 개정 교육과정 연구를 포함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및 에듀테크 전문가가 교수진으로 참여합니다.
-
- 유지원(전공 주임교수) : 이화여대와 Univ. of Minnesota에서 컴퓨터공학(B.S)과 교육공학(M. Ed., Ph.D.)을 전공하고 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AI융합교육 전공주임을 맡아 교사에 초점을 둔 교육과 인공지능 기술 간 균형있는 교육과정 개설과 운영 총괄에 힘쓰고 있다. 주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에듀테크 기반 학습플랫폼 설계 및 개발, 가상현실(VR) 산업훈련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및 사용성 평가 연구, 기획재정부 경제교육종합포털사이트 개선 연구, 역량 기반 평가시스템 개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 연구, 학습분석학에 기반한 연구, 대학교육 성과 분석 연구, 평가도구 개발 등 다양한 교육 관련 프로젝트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전성미 교수(전임교원) : 교육공학(M.A.)과 컴퓨터공학(Ph.D)을 전공하고 LG CNS와 삼성전자 기술연수소에서 교육공학 및 컴퓨터 공학 관련 업무와 강의를 담당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전임교원으로 소프트웨어 중심 대학 사업 1, 2단계에 모두 참여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기초 교양교육과정과 IT 비전공자를 위한 부전공 교과목을 개발 및 강의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삼성전자 주니어 SW 아카데미 임직원 참여 프로그램 사전교육. 교육과정 기획 강의 및 코칭, 성남시청소년재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자문 등 활동을 하고 있으며 저서로 「실용적 컴퓨팅 사고와 소프트웨어」가 있다.'
- 양해인 교수(겸임교수) : 서강대에서 교육공학(M.A.)을 전공하고, 테크빌교육(티처빌연수원)에 재직 중으로 교원연수를 위한 SW, 미래교육 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융합교육팀 팀장/책임연구원직을 맡고 있다. 주요활동으로 KT와 함께 KT AI코딩블록 개발, 교재 출간 및 연수 촬영을 하고 있으며, 울산 미래교육관 설립 콘텐츠 개발 PL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SW, 메이커활동과 연계하여 공간구성 및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교육 파트너(GTP)로 Microsoft Certified Trainer(MCT) 이며 다수 교육청에서 교사들의 연수를 진행하고 있다(수업혁신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인공지능과정, 메타버스 과정(M:EE), 메이커교육 연수 등). 저서로는 「디자인싱킹과 창의공학」, 「디자인싱킹과 창의공학 심화편」, 「마이크로비트로 떠나는 알디와 알코의 빛나는 모험」, 「알코와 알로의 움직이고 소리나는 모험」이 있다.
- 김성훈 교수(겸임교수) : 교육학(BA)과 컴퓨터공학(Ph.D)을 전공하고 현직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EBS의 SW•AI 교육플랫폼인 이솦(Esof)의 교육콘텐츠 및 콘텐츠 추천시스템을 기획하고, 교육부의 학습지원플랫폼 똑똑수학탐험대의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인공지능 내용체계 개발 및 관련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저서로 고등학교 인공지능 기초 교과서(천재교과서, 2022, 공저), 수학과 함께하는 AI 기초(EBS, 2020, 공저)등이 있다.
- 고은지 교수(강사) :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공학(M.Ed, Ph.D)을 전공하였으며, 교육공학, 컴퓨팅 사고, 인공지능 관련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주로 학습자 특성, 교수 설계, 프로그래밍 교육, 컴퓨팅 사고력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로봇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지원에 관련된 한국연구재단의 과제에 참여하였다.
- 김한성 교수(겸임교수) :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후, 약 7년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근무하며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소프트웨어교육 운영지침, 디지털 교과서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과기부 산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모두를 위한 SW/AI 교육' 관련 연구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육부의 미래형 교육과정 연구와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수학/정보/환경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윤리」,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KERIS와 시작하는 인공지능 교육」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본교의 인공지능 학과와 협력하여 우수한 교수진이 참여합니다.
AI융합교육 역량을 겸비한 미래교육 선도 교사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