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육목표
- 유아교육 이론과 방법을 탐구하고 유아교육 실제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능을 기른다.
- 유아교육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유아교육 현장의 제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유아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유아교육의 연구방법을 연마하여 교사로서의 창의적인 연구 수행능력을 기른다.
교과과정
구분 |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비고 |
---|---|---|---|---|
교원양성과정 (교원자격증 미소지자) |
유아교육과 논리 및 논술 | 2 | 2 | |
유아관찰 및 실습 | 2 | 2 | ||
유아놀이지도 | 2 | 2 | ||
아동 권리 및 복지 | 2 | 2 | ||
유아교육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 2 | 2 |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 2 | 2 | ||
유아교육과 교과교육론 | 2 | 2 | ||
유아사회교육 | 2 | 2 | ||
유아교사론 | 2 | 2 | 신설(과목개요 첨부) | |
유아교육과정 | 2 | 2 | ||
영유아발달과 교육 | 2 | 2 | ||
유아안전교육 | 2 | 2 |
교과목내용
- 유아교육과 논리 및 논술 (Logic and Academic Writ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교육에 근거한 논리적 사고를 육성하고, 창의적인 교과지도 방법을 학습하며, 소 연구를 실행하고 논문을 작성해봄으로써 장차 교사, 연구자로서의 자질을 육성한다.
- 유아관찰 및 실습 (Observation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의 발달 및 교육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관찰연구방법을 습득한다.
- 유아놀이지도 (Guidance of Children's Play)
- 놀이중심의 유아교육 교수법에 대한 이론과 교육현장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놀이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아동 권리 및 복지 (Child Rights and Welfare)
- 아동권리를 존중하고 아동 이익 최선의 원칙에 근거하여 아동복지 정책 및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보육 및 교육복지 활동의 방안을 모색한다.
- 유아교육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Strategies for Teaching Young Children)
- * 2~6세에 이르는 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를 이해하고 교수활동 계획, 프로그램 운영, 교수활동 평가 등에 대해 부분적으로 실제 경험하는 기회를 갖는다.
-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Administr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
- 유아교육기관의 설립과 조직, 운영 등에 관한 제반 행정이론을 습득한다.
- 유아교육과 교과교육론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ories of Teaching on Subjects)
- 유아교육의 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본 배경을 연구하고 그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익힌다.
- 유아사회교육 (Social stud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이론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 중요한 사회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연구한다.
- 유아교사론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이론과 실천 방안을 탐색한다.
- 유아교육과정 (Curriculum for Childhood Education)
- 유아교육이론을 기초로 실제교육에 필요한 목적, 방법, 내용선정 및 조직, 평가 등 교육과정에 필요한 제반지식을 습득한다.
- 영유아발달과 교육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아동성장 및 발달에 관한 제 이론을 이해하고 아동의 건전한 발달 및 적응을 돕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습득하며, 이에 적절한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 유아안전교육 (The Saf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영유아들의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여러 요소로부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지식, 태도, 기술 등을 포함하는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