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육목표
- 음악교육자로서 음악예술 및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특수성에 대한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을 키운다.
- 음악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는 교과과정의 탐구, 연주, 교수법 등을 분석.통합하여 음악교육현장에 직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음악교사 개인의 평생교육을 통해 자기발견, 자기성숙을 도모한다.
-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예술교육을 통해 인간정신의 회복과 성숙을 유도할 수 자질을 기른다.
교과과정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
음악과 교과교육론 | 2 | 2 |
피아노반주법연구 | 2 | 2 |
국악학 연구 | 2 | 2 |
음악과 논리 및 논술 | 2 | 2 |
시창· 청음 연구 | 2 | 2 |
음악교육연구 | 2 | 2 |
음악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 2 | 2 |
국악 실기 | 2 | 2 |
합창,합창지도법 연구 | 2 | 2 |
서양음악사 | 2 | 2 |
음악분석 및 형식론 연구 | 2 | 2 |
교과목내용
- 음악과 교과교육론 (Music Education)
-
음악교육사, 음악교육 철학, 음악교수-학습심리, 현대의 음악교육과정 등 음악교육학을 구성하는 영역들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음악교육학의 전반적 흐름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피아노반주법연구 (Study of Piano Accompaniment)
- 다양한 화음의 구성과 조바꿈 등의 연결을 이론 수업을 한 후 실제로 건반상에서 자유롭게 전개시킬 수 있는 능력과 반주의 능력을 기른다.
- 국악학 연구 (Study in Korean Music)
- 초.중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사용하는 국악악기들을 연주해 보며 국악합주 및 학교수업에 필요한 국악악기 교수법을 연구한다.
- 음악과 논리 및 논술 (Music and Logic)
- 음악적 경험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객관화’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비판적 사고능력과 표현력을 키우도록 한다.
- 시창· 청음 연구 (Study in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 음악의 기본적인 시창과 청음을 습득함으로서, 악보의 독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강의이며 실기가 바탕이 된다.
- 음악교육연구 (Study in Music Education)
-
음악교육의 여러 측면을 객관적인 연구를 통하여 논문 형식으로 발표할 수 있도록 연구계획서, 논문작성 및 연구의 여러 방법,
유형 등을 연구한다. - 음악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Research and teaching materials in Music)
-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목적은 음악학습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교재 및 매체의 역할을 이해하고, 교재 및 매체 제작의 원리를 적용하여 수업상황에 따라 이들 매체를 적절하게 선택,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며, 효과적인 음악교수-학습과정의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들을 실제 수업상황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국악 실기 (Practice of Korea Traditional Instrument)
- 학교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며 임용시험 준비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단소와 장구를 배우는 과목입니다.
- 합창,합창지도법 연구 (Study in Choral Conducting Technique)
- 합창 지휘에 필요한 전반적인 테크닉과 리허설을 이끌어 나가는 방법, 지휘자로서 필요한 자질등을 익힌다.
- 서양음악사 (History of Western Music)
- 르네상스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서양음악의 역사를 문헌을 통하여 연구한다.
- 음악분석 및 형식론 연구 (Analysis of Music Forms)
-
음악의 구성요소와 음악사에 따른 다양한 음악형식을 연구하고 실제 악곡의 분석능력을 키워 음악감상에 필요한 능력을
키우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