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교육목표
- 학생의 지적.정의적.신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갖춘 교사 양성
- 정보화.개방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정보처리 능력과 열린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 양성
- 비판적사고, 문제해결, 수행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
- 계속적인 교재연구와 연구에 전념하는 탐구적인 태도를 갖춘 교사 양성
- 학생 개인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가지고 상담과 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양성
교과과정
교과목명 | 시간수 | 학점 |
---|---|---|
가족상담 | 2 | 2 |
성상담 | 2 | 2 |
이상심리학 | 2 | 2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 2 | 2 |
상담이론과 실제 | 2 | 2 |
성격심리 | 2 | 2 |
심리검사 | 2 | 2 |
학교부적응상담 | 2 | 2 |
진로상담 | 2 | 2 |
집단상담 | 2 | 2 |
특수아 상담 | 2 | 2 |
학습상담 | 2 | 2 |
교과목내용
-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 가족상담 및 치료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요개념들을 숙지하고, 가족상담의 실제적인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가족평가의 다양한 방법들을 사례별로 탐색해 본다.
- 성상담 (Sexuality Counseling)
- 학생들이 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고 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성심리 이론과 성상담의 실제를 학습하며 학생들의 성문제를 사례별로 분석하고 토론한다.
- 이상 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 이상 행동의 이해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Counseling Practicum and Case Studies)
- 학교현장에서 직접 학생을 상담하고 그 사례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상담 역량을 향상시킨다.
- 상담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 of Counseling)
- 상담의 여러 가지 접근방법에 대한 이론과 절차, 집단상담의 절차와 기법을 다루면서 개인 및 집단상담의 사례를 검토. 분석함으로서 상담의 실행 능력을 기른다.
- 성격심리 (Psychology of Personality)
-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성격이론들을 이해하기 위해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의 입장을 고찰해보고, 각각의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상담과정에서의 응용면을 탐색한다. - 심리검사 (Psychological)
-
Test심리검사의 발달, 검사실시에 따른 제반문제점, 검사제작의 기본원리를 알아보고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지능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의 실시와 해석능력을 기르며 투사법에 대한 개요를 익힌다. - 학교부적응상담 (Counseling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학교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학습 부적응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학습하며, 학습부적응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토론한다.
-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 진로상담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의 이해를 바탕으로 직업의 이해를 통해 합리적으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상담의 이론에 대한 숙지뿐만 아니라 진로인식을 돕기 위한 여러 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의 상담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서 내담자가 자신들의 진로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 집단상담에서의 구성원들간의 역동적 관계와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집단상담의 이론적 개관과 더불어 집단상담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면접의 시작, 문제해결의 과정, 그리고 종결까지의 구체적 과정을 탐색한다.
- 특수아 상담 (Counseling of Exceptional Children)
- 지적.정서적.사회적 특수아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발생원인을 알아보고 판별 도구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지도방안을 모색해 본다. 특히 분야별로 임상전문가의 초청강의와 특수시설 견학을 병행한다.
- 학습상담 (Learning Counseling)
-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 또는 효율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학습컨설팅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이론과 학습전략을 학습하며 학습 문제를 사례별로 분석하고 토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