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및 환경보건학
- 환경은 생활환경과 직업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환경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쳐 환경성질환이나 직업병을 유발한다. 산업 및 환경보건학은 환경과 건강의 관계를 연구하고 해결하는 학문이다. 교육 내용은 첫째, 직업 및 생활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는 다양한 건강상태나 질병(직업병과 환경성질환)에 대해 익힌다. 둘째, 작업장의 환경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산업위생학적 지식과 경험을 익힌다. 세째, 생활환경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 황사, 화학물질 오염 등 환경적 요인들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교육목표는 산업위생과 환경보건에 대한 지식과 평가 능력을 개발시켜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직업병이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공통과목
- 역학 Epidemiology
- 인구집단의 건강, 질병발생 및 분포, 건강결정요인, 효과적인 예방법에 관한 기본지식을 학습하며, 아울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분양에 필요로 하는 연구자료 분석방법의 기초이론과 실습을 익힌다.
- 보건행정학 Health administration
- 국가보건의료체계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보건의료자원의 전달체계와 관리체계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보건행정 과정 중 가장 중요한 분야인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 방법을 익힌다.
- 보건통계학 Health statistics
- 근거중심의료의 시대에서 통계분석은 보건과학 및 의료 관련 분야 연구에서 필수적이다. 따라서 연구 진행에 필요한 의료통계 분석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 불어 자료 분석에 적합한 올바른 통계분석 방법을 익히고 통계 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 보건학 연구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산업 및 환경보건학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health
- 환경 조건 중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학습한다. 사람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환경 요인에 의한 건강영향을 인구집단 관점에서 평가한다.
전공과목
- 직업병학 Principles of Occupational Diseases
- 일하는 사람의 건강에 대해 다룬다. 일을 하면서 노출되는 유해요인, 업무의 특성, 작업장 조건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건강위험요인과 일하는 사람의 특성이 질병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익히며, 직업병의 예방에 대한 관점을 배운다.
- 환경보건학 Principles of Environmental Health
- 환경 조건 중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학습한다. 사람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환경 요인에 의한 건강영향을 인구집단 관점에서 평가한다.
- 사업장보건관리 Workplace Health Management
- 사업장 보건관리의 원칙들을 이해하고, 사업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사례 중심으로 파악하고, 실제 보건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 독성학 Toxicology
- 사업장 및 환경에서 노출되는 유해물질들의 체내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등의 과정을 파악하고, 독성의 작용기전 및 건강영향을 학습한다.
- 산업 및 환경역학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 직업적 유해물질과 환경오염물질 각각의 노출 특성을 이해하고, 그러한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역학적 방법을 익힌다.
- 산업위생학 Principles of Industrial Hygiene
- 사업장 또는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유해인자(화학적·물리적·생물학적·인간공학적)를 예측, 인식, 평가, 관리하는 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한다.
- 작업환경측정 및 실습 Sampling and Analytic Methods for Workplace Environment
- 유해인자가 있는 작업환경의 측정과 평가방법을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설명한다. 채취방법, 분석방법, 산업위생자료의 통계적 처리 등에 대해 이해한다.
- 작업환경관리 Control of Workplace Environments
- 제거, 대체, 격리, 산업환기, 보호구(마스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통해 건강상 장해를 줄 수 있는 유해인자의 노출을 저감 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대책을 학습한다.
- 직업과 건강 Occupation and Health
- 직업과 건강에 대하여 알아보고, 직업병에 대한 정의와 분류에 대해 이해하고 원인을 추정하며 예방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일과 환경 Work and Environment
- 일과 환경에 대한 정의와 분류, 일을 하는 환경으로부터 노출 될 수 있는 유해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론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