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목
구 분 | 교 과 목 | 학 점 |
---|---|---|
기초공통 | 게임기획 (Game Design) | 2 |
게임 기업 창업과 비즈니스모델 개발 방법론 이해 | 2 | |
게임학론 | 2 | |
콘텐츠와 게임산업 개론 | 2 | |
게임특강 1, 2 | 2 | |
게임그래픽스이론 및 응용 | 2 | |
선택과목 | 게임과 법 | 2 |
게임산업 정책론 | 2 | |
게임 마케팅론 | 2 | |
글로벌퍼블리싱 및 로컬라이제이션 연구 | 2 | |
게임캐릭터디자인 | 2 | |
게임스토리텔링 | 2 | |
게임연출 | 2 | |
게임애니메이션연구 | 2 | |
게임UI/UX | 2 | |
게임특수효과 | 2 | |
가상현실게임디자인 | 2 | |
모바일게임연구 | 2 | |
게임심리학 | 2 | |
차세대게임플렛폼연구 | 2 | |
게이미피케이션 | 2 | |
디자인싱킹 | 2 | |
게임분석과 설계이해 | 2 | |
게임프로그래밍 이해 | 2 | |
고급게임그래픽디자인 | 2 | |
게임소프트웨어 테스팅 | 2 | |
게임시스템설계 | 2 | |
인터랙티브아트게임 | 2 | |
게임조형과 색채 | 2 | |
연구 및 현장실습 | 논문연구1, 2, 3 | 2 |
게임산학프로젝트1, 2 | 2 | |
게임세미나 1, 2 | 2 |
교육과정 해설
- 게임기획 Game Design
- 본 과목은 게임을 기획하기 전 단계, 개발 트랜드와 시장의 트랜드를 이해하고, 초기 게임 콘셉트를 기획하고, 게임엔진, 플랫폼, 장르, 콘텐츠 제작 수량, 시스템 규모 등 게임 개발을 위한 콘셉트 기획서와 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 설계에 관한 내용을 공부한다. 이와 더불어 게임 프로토타이핑 실습을 통해 게임디자인의 핵심 역량을 배양한다.
- 게임 기업 창업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론 이해 Understanding the Game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Model Development Methodology
- 콘텐츠나 IT 분야에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창안하고, 이를 직접 실현할 수 있는 고급 생산자, 마케터, 창업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팀별 아이디어 개발 - 확대 – 적용의 과정을 경험하고, 실질적인 창업, 창직을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방법론 및 창업에 필요한 lean startup,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론, 투자유치 방법론 등을 공부함으로써 창업, 창직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개발하고, 창업, 창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
- 게임학론 Game Studies
- 게임학은 다양한 게임들과 게임 사용자, 게임 디자인, 게임의 사회문화적 역할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게임학은 심리학, 전산학, 사회학, 인류학, 문학, 예술,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융합한 다학제적 접근을 기반으로 연구한다. 게임의 개념과 역사, 게임 시장의 변천 과정, 기초 게임 이론 소개 및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을 이해한다.
- 콘텐츠와 게임산업 개론 Contents & Game Industry Introduction
- ICT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등장은 기존의 대중 매체로부터 미디어 산업 생태계 측면에서의 혁신적 변화를 유발하고 있는 바, 콘텐츠 산업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등장 배경이 되는 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들 산업의 가치사슬 및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제작, 유통, 소비 측면에서의 이해와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한 분야인 게임 산업의 형성 과정과 게임 산업의 기초적 이론에 대해 경영학적, 경제학적 관점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공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게임특강 1, 2 Topics in Game
- 게임 분야에서의 전문가와 함께 새로운 연구 이슈를 도출하여 심도 있는 토론을 한다. 기술적 이슈만이 아니라 디자인, 인문, 사회, 커뮤니케이션, 응용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현장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그들의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실제 산업 현장에서 닥치는 다양한 현상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미래의 창업, 창직 혹은 현장에서 부딪힐 문제의 해결 대안에 대해 선제적으로 준비해 본다.
- 게임그래픽스이론 및 응용 Game Graphics Theory and Application
- 게임 그래픽스의 흐름에 대해 전반적인 개요를 다루며, 이를 응용한 다양한 콘텐츠 활용 방법과 산업적 측면에서의 실제적인 이슈도 토론한다. 또한 게임개발 시 세부직무별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에 대하여 이해하고 해당 직무별로 계획을 세우기 위해 게임개발과정 중에서 게임그래픽 구성요소와 그 역할 및 제작원리의 이해한다.
- 게임과 법 Game & Law
- 게임산업진흥법, 지식재산권법, 전자거래법 등 다양한 법률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게임과 관련된 법 및 제도와 관련된 기초 지식을 함양한다.
- 게임산업정책론 Game Industry Strategy & Policy
- 행정학적 관점에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권위있는 결정으로서 정책의 특성과 유형 및 정책 과정에 대해 정책론 및 정책 분석론 관접에서 설명한다. 더불어 정책과 문화산업, 콘텐츠 산업 특히 게임 산업과 연계하여 공부하고, 실제 실행되는 다양한 게임 산업과 관련된 정책에 대한 이해와 비판 및 대안 모색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게임 마케팅론 Game Marketing Theory
- 게임 산업과 관련된 창업 혹은 스타트 업에 있어 필요한 마케팅의 기초 이론부터 온라인 마케팅 실무에서 활용되는 온라인 마케팅의 핵심지표인 성과분석표, 온라인 마케팅 믹스 등 마케팅의 일반 이론을 게임산업에 특화하여 기초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현장에서 필요로한 마케터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 글로벌퍼블리싱 및 로컬라이제이션 연구 Global Publishing & Localization Study
- 게임의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국별 시장 현황과 퍼블리싱의 특징, 각 국가별 혹은 지역별 중요한 현지화 및 서비스 QM과 관련된 사례 중심의 교육을 통해 게임 개발자 혹은 마케터들에게 필요한 고급화된 이론과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게임캐릭터디자인 Game Character Design
- 본 과목은 창의적인 3D CG캐릭터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목으로서, 주어진 시나리오와 세계관을 분석하여 살려 3D 캐릭터를 디자인하고, 그 디자인을 바탕으로 재질이 포함된 디테일한 3D CG 캐릭터를 제작하고 장면을 연출하는 수업이다.
- 게임스토리텔링 Game Storytelling
- 본 과목에서는 게임 상에서 일어나는 서사행위, 상호작용적인 게임의 서사 등에 대해서 표현 방법을 학습하다. 또한 게임 개발 시 게임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게임기획자로서의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에 대해여 이해하고 게임스토리텔링의 표현방법 및 역할 활용방법에 대해서 학습하는 수업이다.
- 게임연출 Game Production
- 다양한 매체와 장르에서의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이해하고, 게임 스토리텔링을 각색하여 게임으로의 연출을 실습하는 과목이다. 게임 스토리에 적합한 원작을 선택하여, 게임에 맞는 형태로 수정하고, 게임 연출을 개발 이전에 학습하는 수업이다.
- 게임애니메이션연구 Game Animation Study
- 게임을 플레이 하는데 있어 캐릭터의 움직임의 표현에 따라 조작감 및 플레이의 재미와 몰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게임의 완성도 측면에서 캐릭터의 특징별, 상황별 동작표현의 질적인 향상과 게임플레이의 최적화를 위한 캐릭터 전반에 본 세팅에 대한 고급기술을 습득한다.
- 게임UI/UX Game UI/UX
- 게임의 플랫폼이 다양화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게임의 화면 구성 및 조작법에 대한 기획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맞는 현대적인 UI, UX의 개념을 익히고 점점 다양해져가는 다양한 게임 환경과 유저들의 특성에 맞는 UI와 UX를 개발을 연구하는 수업이다.
- 게임특수효과 Game Effects
- 3차원 데이터를 사이버 공간상에서 렌더링, 시물레이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게임 그래픽에 있어서의 예술적인 감각과 학습능력을 배양시키며, 보다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게임 그래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게임이펙트에 대한 분석 및 그 기법에 대해 토의한다.
- 가상현실게임디자인 Virtual Reality Game Design
- 본 과목은 가상현실 (VR) 기술과 그 기술을 활용하여 형성되는 가상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VR의 기술적, 미디어적 측면에서 시작하여 VR 기술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응용을 공부하고, VR기술로 디자인한 가상세계의 사회적, 심리학적, 문화적, 기술적 특성을 다룬다.
- 모바일게임연구 Mobile Game Study
- 모바일 게임의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며, 국내외 모바일게임에 대한 서비스, 플랫폼 및 시장 현황을 연구한다.
- 게임심리학 Game Psychology
- 본 과목은 인간-기술 상호작용 맥락에서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연구하는 수업이다. 21세기에 새로운 분야로서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맥락으로서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게임, 가상 세계, 디지털 미디어 등 진화하는 새로운 문화 기술의 출현과 상호작용이 개인과 집단의 심리적 경험과 라이프스타일, 사회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 차세대게임플렛폼연구 Next Generation Game Study
- 본 과목에서는 VR, 콘솔, 스마트 TV, 클라우드, 증강현실, 웨어러블 등의 차세대 게임 플랫폼의 현황 및 전망을 파악하며, 이에 필요한 기술, 인프라, 시장성, 정책 전략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또한 게임이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환경(플랫폼)의 종류와 특성을 익혀, 각각의 플랫폼별 특성과 시장의 커다란 흐름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수업이다. 또한 기술적 관점에서 게임 기술의 진화와, 플랫폼 관점에서의 진화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최신 트렌드에 게임플랫폼의 특징에 대해서 연구한다.
-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 게이미피케이션은 비게임 분야를 게임으로, 사용자를 플레이어로 전환시키는 의도된 디자인이며 디자이너와 플레이어가 함께 만드는 결과물로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기초개념 및 다양한 사례를 통해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이해 및 발전방향에 대해 학습한다.
- 디자인싱킹 Design Thinking
- 본 과목은 디자인 중심의 사고를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며 융합적 사고 능력을 배양한다. 디자인 사고과정의 주요 사고 흐름인 문제이해, 문제해결, 계획과 적용, 평가의 순서를 통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적용한다.
- 게임분석과 설계이해 Game Analysis & Understanding Design
- 게임 분석을 위해 반드시 필요로 한 수익모델, 플랫폼, 장르, 사용자, 개발 과정 등 기획에 필요한 다양한 이해와 더불어 배경, 캐릭터, 게임 플로우, 레벨 및 밸런스 등 특정 게임을 사례로 게임을 분석함으로써 게임 개발 시 활용될 수 있게 Case Study 위주의 수업을 진행한다.
- 게임프로그래밍이해 Introduction to Game Programming
- 본 과목은 게임 제작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분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소양을 학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개설된 과목이다. 프로그램을 작성해본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의 기초 개념 전달부터 실습까지 과정이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 고급게임그래픽디자인 Advanced Game Graphics Design
- 기초 게임그래픽디자인 학습을 고급화하여 게임제작에 필요한 UI, 캐릭터, 배경 등의 그래픽디자인 및 기법을 연구한다.
- 게임소프트웨어 테스팅 Game Software Testing
- 게임 소프트웨어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팅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차이점에 대해서 학습하고, 게임 테스팅에 적합한 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 과목에서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테스팅 방법론과 테스팅 기법, 테스팅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 게임시스템설계 Game System Design
- 최근 게임은 그 규모가 점점 더 방대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게임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전체적인 게임의 성능이 좌우된다. 본 교과목은 공학적인 관점, 특히 소프트웨어 공학 관점에서 게임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 인터랙티브아트게임 Interactive Arts Game
-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다양한 매체간의 유기적 결합이 용이해지며,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가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게임은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도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미디어 아트와 마찬가지로 영상 그림 음악 이야기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된 종합 문화 콘텐츠이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사용자와 인터랙티브한 관계를 형성하는 게임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며, 예술적 가치와 학술적 연구를 진행한다.
- 게임조형과 색채 Formative and Color in Game
- 게임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캐릭터와 배경 등의 시각적인 요소들이다. 게임을 이루는 여러 조형요소와 함께 게임 스토리텔링을 이루는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매체로서의 색채, 질감, 형태 등의 조형 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 논문연구1, 2, 3 Thesis Study 1,2,3
- 본 과목은 기초교과목 및 선택과목을 2학기 이상을 이수한 후 논문을 준비하거나 논문 작성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이다. 게임을 학문으로서 조사의 기본적 이해와 연구방법, 연구 설계의 여러 종류와 각 장단점,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헌 검색, 가설 설정, 개념화와 조작화, 표본 추출, 자료 모집방법 등 체계적 논리적 조사방법을 기초로 어떻게 논문을 작성할 것을 연구한다.
- 게임산학프로젝트1, 2 Game Project 1,2
- 본 수업은 선정된 산학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고, 스케쥴에 따라 자신이 맡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개인역량 및 프로젝트 자체의 퀄리티을 강화하는 수업이다. 팀 전체 관점의 발표와 파트별 발표 수업으로 진행되며 프로그래밍, 그래픽, 기획의 세부 분야별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게임세미나 1, 2 Game Seminar 1,2
- 게임 개발자 및 지망생들은 함께 일하더라도 관심 분야가 다르고 얻는 정보가 달라진다. 이 강의는 게임 산업으로 나가기 전에 학생들끼리의 서로의 관심사와 최신 분야를 공유하고, 외부 초청강사를 섭외하여 같이 토론을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시장의 흐름을 나누는 수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