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 | 주 제 | 수 업 내 용 | 준비물 | 비 고 |
1 | 나무 그리기 | 이수법(二樹法); 대소형(大小形), 분형(分形), 교형(交形)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2 | 나무 그리기 | 삼수법(三樹法); 대소교형, 분형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3 | 나무 그리기 | 오수법(五樹法); 다섯 그루의 나무그리기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4 | 작은 잎 그리기 | 점엽법(點葉法; 몰골법)- 잎의 특징과 한자의 뜻이나 모양에 의해 농담을 내어 그리는 기법. 개자점(字點), 호초점(胡椒點), 오동점(梧桐點), 수평점(垂平點-일자점), 초엽점(草葉點;풀밭의 풀잎-건필과 습필), 첨두점(尖頭點; 조묵하여 위가 뾰족하게 그림), 수초엽(水草葉; 물가의 풀잎)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5 | 넓은 잎 그리기 | 협엽법(夾葉法; 구륵법)- 잎의 윤곽선 위주로 농담을 내어 그리는 기법. 개자엽 (, 介字葉), 품자엽(品字葉), 두점엽(豆點葉), 오동엽(梧桐葉), 초엽(草葉; 풀잎)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6 | 나무와 잎 그리기 | 많이 쓰이는 점엽법과 잎 붙여 그려보기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7 | 바위 그리기 | 석유삼면(石有三面): 바위에는 세 가지 면이 있다. 윤곽선(輪廓線), 분면(分面), 가준(加), 선염, 태점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8 | 바위그리기 | 파묵법(破墨法)과 발묵법(潑墨法)으로 바위 그리기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9 | 언덕 그리기 | 언덕 그리기- 파화법(坡畵法)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10 | 언덕 그리기 | 경사파(傾斜坡)-토파, 석파, 토석파, 토간석파, 토사파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
11 | 구도 잡아 그리기 | 1.삼원법(三遠法)-고원법, 심원법, 평원법 2.삼원법으로 구도를 잡아 나무와 바위를 구성하여 그린디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4B연필준비 |
12 | 먹으로 완성 후 채색하기 | 1.산수화의 시점의 이해를 통한 구도를 활용하여 적묵법(積墨法)으로 먹을 중첩하여 쌓아 그린다. 2.먹으로 먼저 그린 후 담채로 채색하여 그리는 방법으로 지도한다. |
붓, 화선지, 먹물, 접시, 물통, 담요 | 한국화물감준비, 담채로 칠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