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포드의 자동차 대량 생산 이후, 자동차의 시대로 호황을 누렸던 모빌리티 산업은 최근 100년만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큰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에서 이동으로, 자동차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의 빠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기차-자율주행-서비스 중심의 산업 변화는 기존 자동차사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신생 업체들의 파괴적인 성장에 따라 산업의 전반적인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도시의 변화, 사용자의 변화, 기술의 변화에 따른 모빌리티 패러다임 변화를 잘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올해 열린 CES 2022에서는 타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모빌리티 산업을 변화의 핵심으로 꼽기도 했다. 앞으로 사넙 발전의 핵심이 될 모빌리티 산업을 전기차, 자율주행, 서비스 측면에서 해석한 바 있다.
본 강의에서는 모빌리티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특히 스마트시티와 서비스의 발전, 전기차와 산업 변화, 자율주행과 시장변화 측면에서 최근 산업 동향과 이에 따른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
정구민,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
- 2020~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계소재전문위원회 위원
- 2005~현재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
- 2022~현재 (주) 현대오토에버 사외이사
- 2019~현재 (주) 휴맥스 사외이사
- 2019~2020 LG전자 CTO 부문 자문교수
- 2019~2020 현대자동차 생산기술센터 자문교수
- 2013~2021 (주) 유비벨록스 사외이사
[이전 강의보기]
회차 |
강의주제 |
강의자 |
강의보기(클릭) |
1 |
약한 연결의 힘과 구조적 공백 |
강승완_가천대학교 교수 |
|
2 |
플랫폼 혁명의 이해 |
이승훈_가천대학교 교수 |
|
3 |
플랫폼 시대의 이해&창의적인 혁신과 도전 |
김경달_네오터치포인트 대표 |
|
4 |
딥러닝 인공지능은 만능인가? |
권인수_KAIST 교수 |
|
5 |
로봇기술과 미래 |
오준호_레인보우로보틱스 CTO |
|
6 |
인공지능 펼쳐보기 : 본질, 능력과 한계, 그것이 가져오는 사회변화 |
김진형_인천재능대학교 총장 |
|
7 |
메타버스 시대가 온다 |
탁성범_네이버 클라우드 이사 |
|
8 |
우리 일상으로 자리한 메타버스 |
이미연_SK 메타버스CO 제휴팀 리더 |
|
9 |
전기차 vs 수소차 당신의 선택은? |
윤영수_가천대학교 교수 |